목차
1. 문제해결을 어떤 심적 과정으로 생각해야 하는가?
2. 검색의 구현- 수단목표분석
3. 산출체계로 구현되는 수단목표분석법
4. 전문가와 초보자의 문제해결
5. 문제해결의 주요효과
6. 문제해결의 두 접근: 상징 접근과 연결주의 접근
7. 문제해결과 학습의 관계
본문내용
문제를 풀려면 현제의 문제 상태와 목표 상태 간의 차이를 줄일 수 있는 조작자(operator), 더 쉽게 말하자면 행위를 찾아야 한다. 여기서 조작자란 현 상태를 다른 상태로 바꾸려 할 때 필요한 계산 또는 조작을 가하는 행위를 말한다.
학습 심리학에서는 문제해결을 시행착오 과정으로 보았고, 형태심리학은 문제해결을 상황을 재구조화하는 과정으로 보았다.
문제해결을 시행착오 과정으로 보면, 어떤 해결에 이르는 방응이 어떻게 강해지고, 그렇지 않은 반응은 약해지는지가 주요 분석 대상이다. 문제해결을 재구조화로 볼 경우, 문제를 상황에 관한 표상구조가 어떤 요인 때문에 다시 구성되는지가 분석의 대상이 된다. 문제해결을 검색과정으로 보는 정보처리접근은 문제 상태, 조작자, 문제 공간 및 검색이라는 개념을 중요하게 여긴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