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차
1. Chapter 5. 에릭슨의 성격이론
1) 에릭슨의 생애: Erik Erikson(1902~1994)
2) 주요 개념
3) 성격의 형성과정
4) 건강한 성격의 특성
2. Chapter 6. 클라인의 성격이론
1) 클라인의 생애: Melanie Klein(1882~1960)
2) 주요 개념
3) 성격의 형성과정
4) 건강한 성격의 특성
3. Chapter 7. 코헛의 성격이론
1) 코헛의 생애: Heinz Kohut(1913~1981)
2) 주요 개념
3) 성격의 형성과정
4) 건강한 성격의 특성
본문내용
Chapter 5. 에릭슨의 성격이론
1) 에릭슨의 생애: Erik Erikson(1902~1994)
-독일의 프랑크프루트에서 탄생. 부모는 그가 태어나기 전에 이혼한 상태였으며, 아버지는 에릭슨 탄생 얼마 뒤 사망, 어머니는 에릭슨이 3세 때 재혼
-고등교육을 받지 못했으나 안나 프로이트의 지도를 받으며 정신분석에 대한 매력 느낌.
-1933년 코펜하겐에서 정신분석 기관 설립 시도했으나 실패. 미국 보스턴에 정착하여 하버드대 의과대학 신경정신과의 심리학 연구원으로 지냄.
-캘리포니아 대학에서 아동지도에 관한 종단적 연구에 참여. 정신분석가로서 직업적 정체성을 확립하고자 노력
-1950년 첫 번째 저서 『아동기와 사회 Childhood and Society』의 출판으로 미국 자아심리학의 대표자로 인정받음.
-1960년 하버드대학의 인간발달에 관한 교수로 다시 취임하여 ‘인생 주기’ 과목 가르침.
-1970년 은퇴 후 인간 삶의 주기에 대한 연구를 역사적 인물들과 아동, 특히 소수 집단에 적용하는 것에 많은 노력을 기울임.
-1994년 5월 12일 사망. 우리나라 한국 언론에서 보도될 만큼 20세기 훌륭한 심리학자로 인간이해에 지대한 공헌을 함.
-삶의 후반기까지 스스로 개인적, 전문적 노력을 끊임없이 기울임으로써 심리사회적 이론을 통해 기술했던 ‘성숙한 성인’의 모습을 실제 삶에서 살아냄.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