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험 설계의 기초(관찰법, 신뢰도와 타당도, 변인 조작, 설계법의 종류)

목차

1. Chapter 1 관찰을 제대로 하는 법
2. Chapter 2 실험하는 법
3. Chapter 7 조작하고 측정할 변인을 결정하는 법
4. Chpter 8 피험자 간 대 피험자 내 설계를 결정하는 법
5. Chapter 9 단일변인, 중다변인, 수렴계열 실험을 계획하는 법
6. Chapter 10 실험 연구가 아닌 연구를 설계하는 법

본문내용

Chapter 1 관찰을 제대로 하는 법

과학으로서의 심리학
한 사건이 다른 사건과 어떤 예측 가능한 방식으로 관련되어 있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을 때 우리는 과학의 지식체계에 잘 들어맞는 하나의 진술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 사건들 중 적어도 하나는 측정 가능한 행동이어야 한다(p.5).
심리학자들은 시행들 간의 변산성(variability)뿐만 아니라 인간들 간의 변산성 역시 고려해야 한다. 인간은 결코 똑같은 유전적 배경(일란성 쌍생아는 예외이지만)을 가질 수 없으며, 결코 똑같은 환경적 배경을 가질 수 없다. 그러므로 시행에 따르는 한 사람의 변산성뿐 아니라 사람들 간의 변산성도 다루어야만 한다(p.6).
변산성을 취급하는 한 가지 방법은 통계적 기법을 사용하는 것이며, 두 번째 방법은 연구를 설계하는 단계에서 가능한 한 많이 통제하는 것이다(p.7).

여러 가지 연구 설계의 장점 및 단점에 대한 요약
설계
장점
단점
실험적 방법
● 엄밀한 통제 가능
● 인과적 결론 가능
● 정확한 측정 가능
● 이론 검증 가능
● 인위적 환경이 전형적임
● 전형적으로 개입을 많이 함
● 복잡한 행동은 측정이 어려움
● 비구조화된 탐색적 연구가 어려움
상관적 관찰
● 변인들 간의 관계를 밝힐 수 있음
● 엄밀한 측정이 보통 가능
● 개입이 보통 낮음
● 인과적 결론이 불가능
● 변인의 통제가 어려움
● 많은 참가자들이 필요함
설문조사
● 자료 수집의 효율성
● 태도나 의견을 측정할 수 있음
● 인과적 결론이 불가능
● 자기 보고를 입증하기 어려움
● 편파적이지 않은 표집을 선정하기 어려움
● 우송하는 경우 우편으로 보내는 경우.
반응률이 낮음
기록연구
● 추가적 자료 수집이 불필요
● 진귀한 행동 연구 가능
● 조작할 수 없는 사건 연구 가능
● 적절한 기록이 종종 없음
● 비과학자에 의해 자료가 수집됨
● 기껏해야 상관적 자료가 보통임
문화 기술지
● 익숙하지 않은 상황 기술 가능
● 복잡한 행동 기술 가능
● 개입 낮음
● 참가자를 인간적으로 다룸
● 변인의 통제 불가능
● 엄밀한 측정 어려움
● 연구자의 편견 가능성
● 인과적 결론 불가능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