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 실험설계와 분산분석 이론

목차

없음

본문내용

1. 실험설계와 관련된 주요 용어
종속 변인의 측정
측정 규칙
– 수집된 자료=측정치:실험대상이 지니고 있는 어떤 속성에 일정한 규칙에 따라 숫자를 부여해서 얻은 계량화된 속성
– 측정을 통해 얻어진 자료의 성질에 따라 적용될 수 있는 통계적 분석방법이 달라질 수 있음
– 질적 정보가 측정이라는 과정을 거쳐 양적 정보로 전환될 때 네 가지 종류의 기본 규칙 적용됨
ㄱ. 명명 척도(명명성 정보)
– 분류적 기능: 구별성, 산술적 조작 불가능
– 예: 숫자 1,2 ; 여자, 남자
ㄴ. 서열 척도(명명성 정보 + 서열성)
– 서열적 관계: 산술적 조작x, 부등식 가능
– 예: 등수
ㄷ. 등간 척도(명명성 정보 + 서열성 + 등간성)
– 절대영점 없음, 비율 계산 x,
– 범위, 평균, 표준편차 등 계산 가능
ㄹ. 비율 척도(명명성 정보 + 서열성 + 등간성 + 비율성)
– 최상위 척도치, 비율적 해석 가능, 산술적 계산 가능
– 예: 1.5배, 3배 등의 해석 가능
종속변인 선택 시 고려할 점
종속 변인이 하나 이상일 수 있고, 개수 선택문제는 실험 처치 효과를 얼마나 정확하게 측정하느냐 하는 문제와 직결됨
ㄱ. 연구 문제와의 적절한 관련성
– 적절하다고 생각되는 종속변인들을 파악 및 검토
ㄴ. 측정의 신뢰도
– 신뢰도: 실험을 통해 얻어 낸 자료의 일관성/ 일반화 가능성을 의미
– 신뢰도가 높은 도구를 사용해야 하며, 자신이 내린 연구결과의 신뢰도 정도를 경험적으로 밝히기 위해 신뢰도를 기재해야 함 (ex. 내적 일치도)
ㄷ. 모델의 가정과 일치성
– 통계적 모델: 모델 속에 포함될 변인들의 분포에 대한 어떠한 가정을 지님. 통계적 분석 결과가 얼마나 타당한가 하는 정도는 실제의 실험적 조건 혹은 실험에 의해 얻어진 자료가 통계적 모델에서 요구하고 있는 자료의 가정과 얼마나 일치하느냐에 달려있음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