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화학실험-몰질량 측정

목차

1. Purpose
2. Theory
3. Chemical & Apparatus
4. Procedure
5. Results
6. Discussion

본문내용

1. Purpose
이상기체 상태방정식을 이용하여 쉽게 증발하는 기체의 몰질 량을 결정한다.

2. Theory
1) 몰 (mole)
 아보가드로 수에 대해서 표시되는 양은 매우 중요해서 몰(mole)이라는 특별한 명칭이 주어져 있다. 1몰은 무엇이든 간에 6.022×1023만큼을 의미한다.

 1몰은 입자의 정해진 개수뿐만 아니라 물질의 정해진 질량을 나타내고 있다. 일반적으로 몰당 그램수 (g/mol)로 표시되는 몰질량(μ)의 값은 화학식량과 같다.

2) 보일의 법칙 (Boyle) – 압력과 부피와의 관계

 온도가 일정한 조건에서 기체의 부피가 압력에 반비례 한다는 것을 발견.

 (동일한 기체에 대해서) 기체의 부피와 압력을 곱한 값 은 상수값을 갖게 되는 관계. PV=K

3) 샤를의 법칙 – 온도와 부피와의 관계

 동일한 압력하의 기체의 부피는 온도에 따라 선형으로 증가하는 것을 발견
 기체는 온도가 1℃ 오를 때 0℃의 부피에 비하여 1/237.15 만큼 부피가 증가.
V = V0 x (1+t/273)
 모든 기체의 부피가 0으로 줄어들게 되는 절대적인 온 도의 하한을 새로운 온도 눈금의 기준으로 삼아 0 K 로 삼고 섭씨온도와 같은 간격의 눈금을 매긴 것으로 절대 온도를 정하게 되었다. 이 절대온도 와 부피 사이의 관계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