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화학실험1 이산화탄소의 헨리상수 A 결과보고서 (50/50) 영재고 출신 작성

목차

1. Result
1.1 실험 결과

2. Discussion
2.1 실험결과 분석
2.2 오차 원인 분석

3. Assignment

본문내용

1. Results
1.1 실험 결과
1.1.1 NaOH의 표준화와 약산의 적정
주어진 표준용액인 50mM KHP수용액 5.0mL를 NaOH 수용액으로 종말점까지 적정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때 페놀프탈레인 지시약에 의해 색이 20초 이상 유지된 시점을 종말점이라고 판단하였다.

<중 략>

이때 페놀프탈레인의 변색범위가 8.2~10.0의 값을 갖기 때문에 용액의 색이 무색에서 적색으로 바뀌는 지점인 종말점은 1차 이온화에서만 관찰이 가능하다. 따라서 1가산이라 고 가정한 것이다.
표11에 따르면 1분 교반한 바이알이 가장 이상적인 헨리상수와 가장 적은 오차를 가진 다. 이는 교반하지 않았을 때의 탄산수가 불포화되었다고 볼 수 있다. 교반을 통해 불균 형한 농도로 존재하던 탄산수의 분포가 상대적으로 균등해지며 농도가 높아진다. 또한 상대적으로 교반하면서 표면적이 증가하는 효과도 있기 때문에 반응속도의 관점에서 이 득을 보게 된다.

2.2 오차 원인 분석
2.2.1 적정 시간에 따른 오차
적정을 하는 시간동안 다음의 평형 반응식의 반응이 일어난 것으로 볼 수 있다

<중 략>

2.2.2 교반 방법 차이에 따른 오차
이산화탄소 기체의 경우 공기의 평균 분자량인 28.9 (질소 78%, 산소 21%, 아르곤 1% 가정) 보다 무거운 44.01의 평균 분자량을 가지고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