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배경지식
2. 데이터 정리
3. 결과 분석
4. 실험에 대한 고찰 및 개선 방안
5. 과제
6. 참고문헌
본문내용
1. 배경지식
1.1 원소분석기
시료 내 탄소(C), 수소(H), 질소(N), 황(S) 및 산소(O)를 정량 분석하는 기기이다. 미지시료의 조성비를 통해 실험식을 구할 수 있다. 가열로에서 가스로 분해된 시료는 기체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칼럼을 통과시키며 특정 원소의 피크를 시간에 따라 분리하여 함량비를 구할 수 있다.
1.2 어는점 내림
그림1은 순수 용매에 비해 용액에서 증기압 곡선이 어떻게 변하는지에 대한 그래프이다. 과제에서 설명하겠지만 용액의 총괄성에 의해 용매의 몰분율에 따라 증기 압력이 낮아지며 용융곡선과 삼중점도 낮아진다. 이에 정상 어는점보다 용액의 어는점이 낮아지며 그 값은 다음의 식을 통해 구할 수 있다.
1.3 과냉각 현상
물질이 어는점을 넘었음에도 응고되지 않고 액체상태를 유지하는 현상이다. 액체 분자가 응고하기 위해서는 결정이 형성되도록 핵이 필요하기 때문에 핵이 충분하지 않은 상황에서는 어는점보다 낮은 온도에서 액체로 존재하게 된다. 이때 외부의 충격으로 인해 급격히 상변화를 하게 되면 응고열을 방출하여 온도가 약간 오르게 된다.
1.4 시료 특징
본 실험에서 사용한 NaCl, 포도당, 설탕의 경우 직접 실험실에 비치된 시약통에서 분자량과 화학식을 참고하였다.
포도당과 설탕 분자는 물속에서 나뉘지 않는 비전해질 분자이며 염화나트륨은 1가 이온으로 나누어지며 100% 이온화되었다고 가정하고 실험을 진행하였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