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키호테 소논문 [돈 키호테 속에 녹아든 실존주의적 모습-하이데거의 시선을 중심으로]

목차

1. 들어가며

2. 명명, 자신만의 세계를 향한 첫 도약
2.1. 하이데거의 의미화
2.2 돈키호테의 명명

3. 새로운 존재, 방랑기사를 향한 기투
3.1. 하이데거의 피투적 투기
3.2. 돈키호테의 모험

4. 나가며

5. 참고자료

본문내용

미겔 데 세르반테스(Miguel de Cervantes Saavedra)가 쓴 『기발한 시골 양반 라 만차의 돈 끼호떼(Don Quijote)』는 문학 역사상 가장 위대한 소설로 널리 알려져 있다. 주인공 돈키호테는 이룰 수 없는 꿈일지라도 끝없이 꿈을 꾸는, 기사도에 흠뻑 빠진 인물이다. ‘방랑기사’라는 자신의 새로운 존재를 향하여 모험을 하며 자신이 그려낸 삶을 살아간다.

본고에서는 20세기에 등장한 실존주의에서 강조하는 ‘개인의 자유책임과 주관성’이 17세기의 『돈 끼호떼(Don Quijote)』에서는 어떻게 드러나는지를 실존주의의 대표적인 철학자 마르틴 하이데거(Martin Heidegger.1889~1976)의 철학적 사유와 함께 살피고자 한다. 그 둘의 사상이 완벽하게 일치한다고 볼 수는 없지만, 하이데거가 다루었던 ‘세계(die Welt)’, 그리고 그 세계를 향한 ‘기투(Entwurf)’와 관련하여 유사점을 찾아볼 것이다. 따라서 본고를 통해 하이데거의 시선에서 돈키호테를 바라보며, 돈키호테의 새로운 세계 구성의 의의가 무엇인지를 발견하는 것에 목표를 둔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