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화학실험) 생활속의_산염기

목차

1. Purpose
2. Theory
3. chemicals & Apparatus
4. Procedure
5. Data & Results

본문내용

1. Purpose
-표준 용액을 이용한 산과 염기의 중화반응을 확인한다.
-지시약의 색 변화를 관찰하고 이를 통해 종말점을 결정하고, 사용된 산이나 염기의 농도를 알아낸다.

2. Theory
1. Brønsted-Lowry 산-염기 : H+을 내놓을 수 있는 물질을 산(acid)이라고 하고, H+을 받아들일 수 있는 물질을 염기라(base)고 한다. 아세트산 이외에 염산, 황산, 인산 등이 대표적인 산이고, 수산화나트륨, 수산화 칼륨, 암모니 아 등이 대표적인 염기이다.

2. Arrhenius 산-염기 : 수용액에서 이온화하여 H+를 증가시키는 물질은 산(acid)이라고 하고, 수용액에서 이온화하여 OH-를 내놓는 물질을 염기 (base)라고 한다.

3. Lewis 산-염기 : 비공유 전자쌍을 받아들이는 물질을 산(acid)이라고하고 비공유 전자쌍을 내놓는 물질을 염기(base)라고 한다.

4. 적정(titration) – 정량분석에서 부피분석을 위해 실시하는 화학분석법.
일정한 부피의 시료용액 내에 존재하는 알고자 하는 물질의 전량을, 이것과 반응하는 데 필요한 표준용액의 부피를 측정하여 그 양으로부터 알고자 하는 물질의 양을 구하는 방법이다. 반응용액의 한쪽을 뷰렛에 취하고, 다른 한쪽을 비커에 담아 뷰렛에서 조금씩 떨어뜨려 반응의 종말점을 결정한다.
종말점을 아는 데는 여러 방법이 있으나, 가장 간단한 것은 눈으로 확인하는 법이며, 이것을 시각적정이라고 한다. 이에는 지시약의 변색을 이용하는 방법 (지시약 적정법)과, 반응시약 자체가 변색하는 경우(예를 들면 과망간산적정) 등이 있다.

4. 1. 직접 적정 (direct titration)
적정시약을 반응이 완결될 때까지 분석물질에 첨가하여 분석물질의 농도를 확인
e.g.) 식용 식초의 산-염기 반응
CH3COOH + NaOH → CH3COONa + H2O
e.g.) 아스피린의 산-염기 반응
C6H4(OCOCH3)COOH + NaOH → C6H4(OCOCH3)COONa + H2O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