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2-1 자폐
2-2 지적장애
2-3 청각장애
3. 결론
본문내용
장애가 늘어나고 있다는 것을 몸으로 느끼고 있다. 내가 전문가가 아니기에 속단하기는 이르나 나의 실무환경인 어린이집에서 근무를 하며 살펴보면 보통 아이들과 다르다고 느껴지는 아이들이 많다. 특히 자폐와 지적장애가 혼합된 양상의 아이들을 볼 때면 안타까운 마음 마저 들 때가 많다. 혼자만의 세상에 갇혀 원하는 것이 있음에도 그것을 말로 표현하지 못하고 주변 사람들과 상호작용을 하지 못하니 보육교사로써 도움을 주어야 하는 입장임에도 그 원하는 바를 몰라 도와줄 수 없는 마음이 답답하기 그지 없다. 그런 아이들을 접할 때마다 언어발달의 중요성에 대해서 여실히 느끼곤 한다.
언어발달에 대한 학자들의 주장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눈다. 하나는 미국의 행동주의 심리학자인 버러스 스키너(Burrhus F Skinner)을 필두로 논의되고 있는 ‘학습설(경험론)’로, 인간의 언어 습득은 후천적인 경험인 ‘훈련 학습’에 의한 것이라는 주장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