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예비보고서)
1. 실험제목
2. 실험목적
3. 실험이론
4. PSpice 시뮬레이션
II. (결과보고서)
1. 실험제목
2. 실험목적
3. 실험결과
4. 결과분석 및 고찰
5. 결론
본문내용
1. 실험 제목
: 전류원 및 전류 미러 회로(실험24)
2. 실험 목적
: 전류원과 전류미러 회로에서 DC전압을 계산하고 측정합니다.
3. 실험 이론
전류원
– 전류원(current source)는 상황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전류를 보내려고 하는 회로를 의미한다. 이상적인 전류원의 경우 상황에 영향을 받지 않겠지만 현실에서는 상황에 따라 전류에 영향을 주기도 한다. 대표적인 전류원으로 BJT, FET가 있습니다.
– 위와 같이 전류원이 있다고 하자. 전류원은 내부 임피던스()가 작을수록 좋습니다. 내부 임피던스는 전류를 몰래 먹는 저항으로 부하저항과 비교했을 때 크기 차이가 많이 없을 경우 부하에 흐르는 전류는 {Z _{i`n}} over {Z _{i`n} `+`R _{load}} TIMES I로 많은 양의 전류를 내부 임피던스에 빼앗기게 된다. 따라서 내부 임피던스는 최대한 크게 해줄수록 좋습니다.
<중 략>
전류 미러
– 한쪽의 트랜지스터 회로의 전류를 조절해서 부하에 흐르는 전류를 정하는 직류회로입니다. npn 트랜지스터를 사용하느냐, pnp 트랜지스터를 사용하는가에 따라, 부하저항의 위치에 따라 전류 싱크형과 전류 소스형으로 나눠진다. 전류 싱크형은 전류 미러가 그라운드처럼 전류를 부하로부터 빨아들이는 모양이고 전류 소스형은 전류 미러가 부하에 전류를 공급하는 모양이다. 같은 크기의 전류를 부하에 공급하는 전류반영 회로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기 위해서는 2개의 트랜지스터의 특성이 동일하여야 합니다.
– 그림 24-3을 해석하여 부하저항에 흐르는 전류가 입력 전류와 동일함을 보이자.
I _{B} `=`I _{B _{1}} `+`I _{B _{2}} `=` {I _{C _{1}}} over {beta _{1}} `+` {I _{C _{2}}} over {beta _{2}} `( BECAUSE I _{C} `=` beta ` TIMES `I _{B} )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