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내원동기(도착당시 상태 및 현 상태)
학교에서 커터칼 및 가위로 팔, 가슴 등 자해 하는 모습 관찰되어 내원 2일전 이런 현상으로 학교에서 연락이 왔다하며 그 후 여행 다녀온 후 증상 관찰 중이였으나 학교에서 정신과적 치료 위해 보냈다고 함(보호자)
내원 시 진단 검사방법 및 결과
내원시 혈액검사와 소변검사 실시, 소변검사에서는 특이사항이 관찰 되지 않았지만 혈액 검사 결과 Hb 수치가 감소된 것이 관찰됨. 환자가 자해 시 출혈이 있어 감소된 것이라 판단됨.
불안장애 과거력이 있어 전공의와 상담 진행함.
간호진단1 반복되는 자해와 관련된 자살 위험성
간호진단에 대한 과학적 근거
2009년 이래로 자살은 아동 청소년의 죽음을 설명하는 사장 중요한 사망 원인이다. OECD 회원국에 비해 우리나라 여자 아동 청소년의 자살률은 월등히 높고, 10대 자살률 성비는 대등한 비율을 보인다. 여자 아동 천소년의 특성에 따른 예방 및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간호계획
정신의학과 전문의와의 상담치료를 진행 할 수 있도록 한다.
간호수행
전문의와 상담 할 수 있도록 대상자를 지지 해 줌.
간호수행에 대한 이론적 근거
‣꾸준한 상담치료를 통해 대상자에게 자신에 대한 긍정적 태도와 객관적 사고 습관을 집중적으로 훈련 할 수 있다.
‣상담치료를 장기적으로 진행 하여 대상자의 스트레스와 불안을 감소 시켜 줌으로써 자해로 인한 자살 위험성을 줄일수 있다.
간호평가
대상자는 상담 계획을 잡고 앞으로 장기적으로 전문의와 상담을 해 나아갈 것이라고 하였다.
간호진단2 계속되는 충동조절 실패와 관련된 불안
간호진단에 대한 과학적 근거
자율신경계의 반응에 의해 나타나는 막연하고 편안하지 않은 불편감이라 공포감(원인은 개인에게 불특정적이고 알려지지 않음), 예상되는 위험에 의해 유발되는 염려스러움, 곧 닥칠 위험을 경고하고 개인이 그 위협을 해결할 수 있는 조치를 취하게 하는 경고신호.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