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성간호] 고위험 분만 시 산과적 시술과 간호

목차

1. 학습목표

2. 산과적시술
1) 유도분만
2) 회음절개술
3) 흡인만출(Vacuum extraction)
4) 흡인만출
5) 제왕절개 분만
6) 제왕절개 후 질 분만 Vaginal birth after cesarean section, VBAC)
7) 자궁내막 소파술(Dilatation & Curettage, D & C)

본문내용

학습목표
▸ 유도분만의 적응증과 그 방법을 설명한다.
▸ 회음절개술의 종류와 간호를 설명한다.
▸ 흡인만출의 적응과 간호를 설명한다.
▸ 제왕절개술의 적응과 수술 전후 간호계획을 설명한다.
▸ 자궁내막 소파술의 적응 및 간호를 설명한다.

산과적시술
1. 유도분만(Induction)
자연적인 자궁수축이 있기 전에 인위적으로 자궁수축을 유도하여 분만하는 것.
1) 적응증
• 태아의 위험이 의심될 때
• 24시간 이상 치료하여 효과가 없는 자간전증 및 자간증
• 임신성 고혈압(PIH), 당뇨병, Rh부적합증 등의 모체 질환
• 자궁수축 미약으로 활동기에 분만지연이 있을 때
• 파막 후 24시간이 지나 분만이 시작되지 않을 때
• 급속분만의 경험
• 42~43주의 과숙 임신

2) 금기증
• 아두골반 불균형 또는 산도 기형
• 태아 질식
• 제왕절개술 또는 자궁수술 경험
• 다산부(4회 이상의 분만경험)
• 전치태반
• 질의 헤르페스 감염
• 질출혈
• 비정상적 태아 선진부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