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Title
Ⅱ. Purpose
Ⅲ. Theory
Ⅳ. Chemicals & Apparatus
Ⅴ. Procedure
Ⅵ. Data & Results
Ⅶ. Discussion
Ⅷ. Reference
본문내용
Ⅰ. Title
질량 측정과 액체 옮기기
Ⅱ. Purpose
1. 저울 사용법과 액체를 옮기는 기구의 사용법을 익힌다.
2. 실험데이터 처리 및 불확정도 추정 방법을 배운다.
Ⅲ. Theory
1. 측정을 배우는 이유
화학은 자연 현상에 대해서 관찰과 측정을 정확히 하여 이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정리한 것을 토대로 논리적 해석을 추구함으로써 자연 법칙을 이해하는 분야이다. 따라서 관찰 및 측정은 화학 실험에서 화학을 배우는 첫 번째 단계라 할 수 있다. 여기서, 화학 실험 속 관찰은 물리적 수치의 관찰과 정성적 현상의 관찰의 2가지로 분류된다. 물질의 상태 변화 관찰도 물론 중요하지만, 의미가 있는 결과 해석을 위해 물리량을 정확히 측정해야만 한다. 이를 위해, 실험에서 요구하는 정밀도(precision)에 따라 알맞은 기구를 선택하고 기구들의 사용법을 익혀, 의미 있는 측정값을 얻어야 한다.
<중 략>
4. 용해와 용해도
1) 용해
용해란 기체, 액체, 고체 물질이 다른 기체, 액체, 고체 물질과 혼합되어 균일한 상의 혼합물을 만드는 현상이다. 용해로 인해 만들어진 용액에서는 용해된 용질의 입자가 용매 입자와 같이 입자 사이를 자유롭게 운동한다. 용매는 성질에 따라 동일한 용질이 라도 잘 용해되는 것과 잘 용해되지 않는 것이 있다. 한편 용매, 용질의 성질에 의해 용해도가 달라질 때도 있는데, 이 성질에는 극성 무극성, 친수성 소수성 등이 있다.
2) 용해도
용해도는 일정 온도에서 용해 평형에 이를 때까지 용질이 용매에 녹으며 포화 용액이 되는데 이때 일정량의 용매에 포화되는 용질의 양을 의미한다. 용해도는 용질과 용매의 종류, 그리고 온 도에 의해 결정된다. 이때, 용질의 양과 용해도는 관련이 없다.
3) 고체의 용해도
일정한 온도에서 용매 100g에 용해될 수 있는 최대 용질의 질량(g) 이다.
고체의 용해 과정은 대부분 흡열반응이다. 따라서 온도가 높아 지면 용해도가 증가하게 된다. 왼쪽의 곡선 그래프에서 곡선 위의 점은 포화 용액, 곡선 아래는 불포화 용액, 곡선 위는 과포화 상태인 용액을 나타낸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