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LH with BSO

목차

Ⅰ. 문헌고찰
Ⅱ. 수술 전 준비 상황 확인
Ⅲ. 수술 절차 및 간호
Ⅳ. 마취 과정
Ⅴ. 수술에 사용된 물품 및 기구 확인

본문내용

1. 문헌고찰
1) 의학적 진단명 : Carcinoma in situ of endometrium (자궁내막 상피내암)
위치: 자궁의 아래쪽에 질과 연결되는 부분, 자궁내강에서 질로 연결되는 부위를 자궁경관이라고 함
기능: 자궁은 임신을 유지하고 출산을 가능하게 하는 기능을 가짐, 자궁경관은 이를 지지해 임신을 유지함

– 자궁경부암은 암이 되기 이전인 전암 단계를 상당 기간 동안 거치며, 정상 상피세포에서 침윤암으로 되는 과정은 수 년 내지 수십 년에 걸쳐 서서히 진행된다.

– 자궁경부의 표면의 정상 상피세포에서 시작하여 미세한 현미경학적인 변화가 발생하는 자궁경부 상피내이형성증(정상조직과 암조직의 중간)을 거쳐, 상피내에만 암세포가 존재하는 자궁경부상피내암(자궁경부암 0기)으로 진행하게 되고, 이 단계에서는 발견하여 치료하지 못하면 다시 침윤성 자궁경부암으로 진행하게 된다.

– 자궁경부 상피 내 암종이란 침윤성 자궁경부암이 되기 바로 전 단계이다.

– 원인
HPV
인유두종바이러스
– 자궁경부암 발병 원인의 70~80% 차지함
– 100여종의 HPV에서 40여종이 생식기에서 발견되어 자궁경부상피내 병변을 일으킴
기타 감염
– AIDS, 매독, 임질, 트리코모나스 감염
– 하부생식시의 클라미디아 감염, 단순포진바이러스 감염 등
성행위 및 파트너
– 첫 성교 연령이 낮을수록, 성 파트너가 많을수록 발생률이 증가함
– 포경수술을 하지 않았거나 음경이 청결하기 못한 파트너와 성교할 경우 지방샘의 분비물과 박리된 상피세포 등으로 이루어진 구지가 영향을 미침
흡연
– 흡연기간이 길수록, 흡연량이 많을수록 위험률이 높음
사회경제적 특성
– 낮은 경제적 수준과 비위생적인 위생습관

– 병태생리
정상세포 → 자궁경부 상피이형성증(CIN) → 자궁경부상피내암(CIS) → 침윤성 자궁경부암의 순서로 진행된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