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단검사 보고서, 검사결과 보고서, 피검사결과 해석, 피검사결과 의미, 성인간호

목차

1. Diagnostic procedure 진단절차
1) ABGA 동맥혈가스분석 (arterial blood gas analysis)
2) blood glucose test 혈당 검사(BGT)
3) S-electrolyte test 혈청 전해질 검사 (serum electrolyte test)
4) PT & PTT 프로트롬빈 시간 & 활성화 부분트롬보플라스틴시간 (prothrombin time & 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
5) BT 출혈 시간 (bleeding time)
6) CBC 전혈구 검사 (complete blood cell)
7) UA 요산 검사 (uric acid)
8) BUN 혈액 요소 질소 (blood urea nitrogen)
9) Creatine 크레아틴
10) toxic screening test 독소 선별 검사
11) s-amylase 혈청 아밀라아제 (serum amylase)
12) cardiac enzymes 심장효소검사
13) EKG 심전도 (ECG, electrocardiography)
14) Echocardiography 심초음파
15) thoracentesis 흉강천자
16) abd. paracentesis 복강 천자 (abdominal paracentesis)
17) lumbar puncture 요추천자
18) pulse oximetry 맥박산소측정법
19) Estimation of burn injury 화상의 판단
20) UA 요분석 (urinalysis)

2. 동맥혈가스분석 ABGA(arterial blood gas analysis) 추가
1) 검사의 목적
2) 검사항목과 정상범위
3) 검사 결과 해석 방법
4) 검사 결과 의미

3. 혈청 전해질 검사 S-electrolyte test(serum electrolyte test) 추가
1) 검사의 목적
2) 검사항목과 정상범위
3) 각 전해질 불균형 증상과 치료방법

본문내용

검사명
ABGA
동맥혈가스분석
(arterial blood gas analysis)

검사목적
신체의 산-염기 균형, 불균형의 근본 원인, 전반적인 산소 상태 파악을 위한 검사.

요골동맥, 대퇴동맥, 상완동맥에서 채취하여, 동맥혈의 산도(pH), 산소 분압(PaO2), 이산화탄소 분압(PaCO2), 중탄산염(HCO3-), 산소포화도(SaO2)를 측정.

정상범위
pH: 7.35~7.45
PaO2: 80~100 mmHg
PaCO2: 35~45 mmHg
HCO3-: 22~26 mmol/L
SaO2: > 95 %

검사 전/후 간호
산소 치료 중이라면 채혈 전 약 30분간 산소 치료를 중단하고, 실내 공기를 호흡하는 상태에서 채혈을 진행함. 요골동맥으로 동맥혈을 채혈하는 경우 allen test를 시행함. 혈액응고를 방지하기 위해 헤파린을 사용함.

채취한 혈액이 담긴 주사기에 공기가 섞이지 않도록 바늘 끝에 고무마개를 꽂아서 공기의 유입을 막아야함. 천자부위는 5분 이상 지혈하여 동맥혈의 유출을 예방함.

검사명
blood glucose test
혈당 검사(BGT)

검사목적
당뇨병의 진단과 치료를 위해, 지속적인 혈당 측정을 위해, 정상인이나 임신부, 내분비 질환, 자가면역질환 등 전신질환이 있는 경우 혈당 수치를 보기 위해 시행하는 검사.

① 자가혈당측정방법: 손을 완전히 말린 후 채혈침으로 손가락 가장자리를 찔러 혈액을 채취함. 검사 시 마다 채혈 부위를 변경함. 검사결과의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 손가락 끝을 쥐어짜지 않도록 하며, 혈액을 검사 시험지에 묻히고 결과를 기록함.
② 채혈검사: 정맥에서 채혈한 혈액검체로 검사를 진행.
③ 공복 혈당 검사(fasting blood glucose, FBG): 식후최소 8시간 후 공복 상태의 혈당을 측정하는 검사.
④ 경구 당 부하 검사: 공복 혈당 검사 후 포도당을 경구로 섭취한 2시간 이후에 진행하는 검사.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