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문제인식
Ⅱ. 정보의 탐색
Ⅲ. 대안 평가
Ⅳ. 구매
Ⅴ. 구매후 행동
본문내용
최근 6개월 이내에 구매했던 제품 중 고관여 제품이며, 상황적 요인등에 필요로 했던 ‘음식물 처리기’에 대하여 구매의사결정과정(문제인식-정보탐색-대안평가-구매-구매후행동)과 이 구매의사결정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정보처리과정에 대해 기술을 해보고자 한다.
Ⅰ. 문제인식
추워서 보일러 온도를 잔뜩 높이고 따뜻하게 지내야 했던 겨울을 지나, 어느새 봄이 오고 전체적인 날씨가 따뜻해져 가는 시기에 우리 집에는 보이지 않던 날파리가 날아다니기 시작했다. 처음에는 베란다나 현관문을 통해 들어온 줄 알았으나, 계속 눈앞에 보이는 부분에 있어서 불편함을 느끼기 시작했다. 이에 원인을 파악하던 중 요리 또는 배달음식을 시켜 먹고 남으면 두었던 음식물 쓰레기에서 발생 되고 있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나름 꼼꼼하게 포장해두었으나, 날씨가 더워지고 있어서 소용이 없었고, 냉동실에 얼리기에는 세균 번식의 위험이 있어 이대로 두면 지속적인 문제 발생과 불편함을 초래하여 문제의 중요성이 크다는 생각에 문제 해결의 필요성을 느꼈다. 이는 이상적 상태는 그대로이나, 실제 상태가 안 좋아진 것이기에 필요 인식에 의한 문제인식으로 볼 수 있다. 또한, ‘문제를 예상할 수 있는지?’, ‘문제 해결이 긴급한가?’라는 구분 기준에 의해서 자체적으로 갑자기 발생 된 예상치 못한 문제, 즉각적으로 해결이 요구되는 문제인 ‘긴급적 문제’라는 판단이 들었고, ‘음식물 처리기 구매’ 의사결정을 진행했다.
Ⅱ. 정보의 탐색
문제는 인식했으나, 실제로 음식물을 비닐봉지에만 모아왔던 나는 알고 있는 정보가 아주 극소량이었다. 내적 탐색을 통해 의사결정을 할 만큼 충분한 정보가 저장되어있고, 상당히 만족스러운 대안이 있어서 곧바로 그 대안을 구매하면 아주 좋겠지만, 내적 탐색만으로는 원하는 의사결정을 하기가 어렵다는 판단이 들었다. 그래서, 외부로부터 추가적인 정보를 찾기 위해 외적 탐색을 추진했고..
<중 략>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