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티어의 의사소통 및 대처 유형을 설명하고 자신의 가족구성원의 유형에 대해 기술

목차

Ⅰ. 사티어 이론에 대한 의의

Ⅱ. 자존감의 3대 구성요소

Ⅲ. 사티어의 의사소통 및 대처유형
1. 회유형
2. 비난형
3. 초이성형
4. 산만형
5. 일치형

Ⅳ. 가족구성원 유형에 대한 고찰
1. 나

본문내용

Ⅰ. 사티어 이론에 대한 의의

사티어는 말했다. 인간에게는 문제 자체가 문제가 아니라 이 문제에 어떻게 대처하는지가 중요한 문제라고. 의사소통 및 대처 유형을 연구하는 과정에서 사티어는 임상활동을 통해서 사람들이 긴장을 처리하는 방식에 공통점이 있음을 발견했다. 그리고 이러한 공통적 의사소통 및 대처 유형을 다섯개의 유형으로 분류하여 정리를 했는데, 이러한 의사소통 및 대처유형들은 일종의 생존유형으로 자아존중감이 낮은 불균형 상태에 있을 때 주로 나타난다고 보았다.

Ⅱ. 자존감의 3대 구성요소

그렇다면 자아존중감이 낮은 불균형 상태를 만드는 요소에는 어떠한 것이 있을까? 사티어는 자기, 타인, 상황을 자존감의 3대 요소로 보았다. 자기는 애착, 사랑, 신뢰, 존중을 통해 갖는 자신에 대한 가치와 자신의 유일성을 의미하여 타인은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서 형성되며 다른 사람에 대해 느끼는 것을 말한다. 즉, 다른 사람과의 동질성, 이질성, 상호작용에 대한 것이 타인이다. 마지막으로 상황은 주어진 여건과 맥락으로 주로 부모나 원가족 삼인군에서의 상황을 의미하는데, 3대 요소 중 어떤 것이라도 온전하지 못하면 역기능적이라고 보았다. 반면에 자기, 타인, 상황 3대 요소가 일치하게 되면 기능적인 대처방식이라고 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