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목적
2. 이론
3. 실험재료 및 기기
4. 실험과정
5. 실험결과
6. 고찰
7. Reference
본문내용
1. 실험목적
– SDS-PAGE를 이용한 단백질의 분석 및 검출을 진행하고 이해한다.
– SDS-PAGE에 사용되는 시약의 특성을 알압보고 SDS-PAGE의 원리를 이해한다.
2. 이론
◼ SDS-PAGE
– SDS-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로, SDS-폴리아크릴아미드 겔 전기영동의 약호이다.
– Sodium Dodecyl Sulfate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으로서 단백질이 전기장이 가해진
겔(gel)에서 그 크기에 따라 이동속도가 다름을 이용해 이들을 분리 및 분석하는 기법이다.
– 전기장에서 단백질 등을 분리하는 것을 전기영동이라고 하는데, SDS-PAGE가 가장 많이 쓰이는 방법
이다.
– 도데실 황산 소듐은 단백질을 분리하기 전에 단백질을 똑같은 직선 형태로 변성시키며 아울러 단백질
에 음의 전하를 띠도록 한다. 단백질은 전기를 띤 젤을 따라 움직이며 분자량이 작은 단백질은 빠르게
움직인다. 젤을 염색하면 분자량이 다른 단백질들은 뚜렷한 띠로 구분된다.
◼ SDS (Sodium dodecyl sulfate, 도데실황산소듐)
– 음이온 계면활성제(anionic surfactant)이다.
– 소수성 꼬리와 친수성 머리 구조를 갖고 있어서 단백질과 결합하면 단백체 변성을 일으킨다.
→ 세포막 단백체처럼 일반적인 완충액에 쉽게 용해되지 않는 단백체의 분리 분석용 시료로 사용되고
있다.
– RNA, DNA를 추출하는 과정에서 세포를 부수는 세포 용균으로 사용되기도 하고, 단백질을 변성시키
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