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가설검증의 방법
1) 직접검증법
2) 간접검증법
II. 가설검증에서의 귀납과 연역
1) 귀납적 방법
2) 연역적 방법
본문내용
I. 가설검증의 방법
1) 직접검증법
‘직접검증법(direct test)’이란 가설을 직접적으로 검증하는 것이다. 그러나 사회과학의 경우 이러한 두 가지 사실의 관찰만으로 그 가설의 타당성 여부를 판단하기는 어려운 경우가 많으며, 이것은 주로 두 가지 사실에 대한 측정과정의 작성, 측정방법, 두 가지 사실에 대한 측정시점, 측정되는 두 가지 사실의 시간이나 순서, 두 가지 사실의 모집단 결정과 그 대표성 그리고 무엇보다 관련되는 다른 변수의 통제 문제 등 무수한 요인들이 관찰결과의 타당성 여부 판단에 영향을 준다.
[그림] 부모의 열의와 아동의 독립적인 학습태도 간의 관계
[위의 그림]은 부모의 교육 열의가 일정 수준에 도달한 경우 아동의 독립적인 학습태도가 어떠한지를 관찰한 것이다.
이 경우 부모의 열의가 일정 수준 이상이 되면 아동의 학습태도는 변화가 없거나 오히려 저하되었음이 판명되었다면, 부모의 열의와 아동의 독립적인 학습태도 간에 관계가 있다는 가설은 긍정적인 것으로 받아들여진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