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자녀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요인
2) 부모의 양육태도 유형에 따른 자녀의 정신건강
① 권위적 양육 형태
② 독재적 양육 형태
③ 허용적 양육 형태
④ 거부적/무시적 양육 형태
3)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녀 정신건강의 관련성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최근 방송에서 육아 상담 프로그램을 시청하면서 드는 의문점이 생겼다. 자녀들의 행동을 이해하지 못하는 부모와 그런 부모를 이해하지 못하는 자녀의 대립과 갈등을 보면서 무엇이 원인이기에 이와 같은 상황이 발생하고, 이 상황을 보며 공감하는 가정들이 생각보다 많은지 궁금했다. 부모라고 해서 자녀의 사생활과 인권을 침해할 수 없다. 또한 자녀라고 해서 부모에게 선을 벗어난 언행을 행해서도 안 된다. 그렇다면 어떤 방법으로 양육하는 것이 올바른 것이고, 양육하는 방법에 따라 아이의 정신건강은 어떤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 싶었다.
따라서 이번 레포트에서는 자녀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요인에는 무엇이 있는지, 그중 부모의 역할로 부모가 양육하는 태도에 따른 자녀의 정신건강 상태는 어떤 양상을 띠는지, 부모의 양육 형태와 그 자녀의 정신건강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
2. 본론
1) 자녀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요인
정신건강(mental health)이란 과한 스트레스 없이 정서적으로 안정되고 건강한 상태를 말한다. 유사한 용어로는 정신위생(mental hygiene)이라고도 한다.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유전적, 기질적, 심리적, 환경적(사회문화적) 요인 등이 있다. 이 중 환경적 요인만 살펴보면 첫 번째로 가족 즉, 가정환경의 영향이 있다. 부모가 자녀에게 행하는 양육 방식이 자녀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준다. 예를 들어, 부모가 자녀에게 애정과 관심을 많이 표현하면, 자녀와의 의사소통이 원활하고, 자녀의 입장을 이해하고 존중할수록 자녀의 자기 통제능력이 높다. 반면에 자녀를 엄격하게 통제하거나 억압하고 훈육 시 체벌을 사용하여 자녀가 이해하지 못하는 양육태도가 반복된다면 자녀와 부모의 사이는 단절되고, 자녀의 자기 통제능력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