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 ) 현실문제나 책,영상(뉴스,영화,다큐멘터리 등)등을 읽고 시청한 내용을 토대로 논어를 접목하여 글을 작성한다.

목차

1.서론-논어의 필요성

2.본론-범죄로 알아보는 현실문제와 논어
1)충-이스라엘 팔레스타인 전쟁
2)효-만취 귀가 꾸짖은 모친 살해
3)예-‘층간소음 시비’로 이웃을 폭행해 숨지게 한 전 씨름선수

3.결론-논어가 시사하는 바

4.참고문헌

본문내용

공자가 생전에 ‘논어’를 통해서 여러 가지 가르침을 주었지만, 그중에서도 공자는 군자가 지녀야 할 덕성 중에 가장 중요한 덕목을 인(仁)이라고 보았다. “살신성인(殺身成仁)한다”와 같은 표현으로 생각해보면 인(仁)의 덕목은 아무나 이루기 힘든 어려운 덕목인 것이다. 이러한 인(仁)은 매우 넓은 의미를 담고 있다. 충(忠), 효(孝), 예(禮) 지혜(智), 공(恭), 용기(勇) 등의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덕목에 대한 포괄적인 완전한 덕(全德)을 이루는 이름으로 정의하고 있다. 그러므로 공자는, 고대 중국의 사람들이 때때로 예를 갖추어 행동하지 않는 일이 생긴다면 사람들이 예법에 따라 행동하지 않고, 개인의 욕구만을 좇아 그것을 만족시키기 위해서 행동하기 때문이라고 꾸짖었다. 그러므로 예가 잘 실천(復禮)되기 위해서는 ‘극기(克己)’ 할 수 있어야 한다고 가르침을 주고 있다. ‘극(克)’이라는 의미는 싸워 이긴다는 뜻이지만 다른 사람과 싸우는 것이 아니라 자기 자신과 싸워 이겨낸다는 의미이다. 그러한 ‘극기’란 ‘예’의 마음으로 자기 자신의 욕구들과 싸워서 이겨내려는 마음이므로 ‘극기’를 한다는 것은 자연스럽게 ‘예‘을 실천하는 것과 같게 된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