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한 부모 가정의 개념
2. 한 부모 가정의 현황
3. 한 부모 가정의 지원 정책
4. 한 부모 가정을 위한 정책 및 법적 과제
Ⅲ. 결 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전통사회에서 한 부모가정은 대체적으로 질병에 의한 배우자의 사망에 의한 원인이 대부분이었으나 산업사회, 도시화사회로 발전하면서 교통사고, 산재 사고 등 ‘사고사망’의 증가와 여성의사회진출로 경제활동이 늘어나면서 이혼, 가출로 이혼이 증가하고 자녀의 유기로 인해 한 부모 가정이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한 부모가정을 모자가정, 결손가정, 편부모가정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으나 부정적 의미를 내포하고 있어 2000년대 들어 한국 여성 민우회를 중심으로 ‘한 부모’라는 용어를 본격적으로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영어로도 one parent family, single-parent family, lone-parent family 등으로 쓰이고 있다. (Kissman & Allen, 1993).
우리나라 한 부모 가정의 현황을 살펴보면, 전체 가구 중 한 부모 가정이 차지하는 비율은 2005년 8.6%(전체 15,887천 가구 중 1,370천 가구)에서 2007년 8.9%(전체 16,543천 가구 중 1,468천 가구), 2010년 9.2%(전체 17,339천 가구 중 1,594천 가구), 2014년 10.5%(전체 18,705천 가구 중 1,970천 가구)로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가, 2015년 8.2%(전체 19,561천 가구 중 1,608천 가구), 2019년 7.3%(전체 20,891천 가구 중 1,529천 가구)로 조금씩 감소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즉, 우리나라 가구 전체에서 열 가구 중 약 한 가구는 한 부모 가정인 것이다. 또한, 2019년도의 전체 한 부모 가정에서 모자가구와 부자가구의 비율은 모자가족은 74%(1,517천 가구)이며, 부자가족은 26%(545천 가구)로 차지하여 모자가족이 부자가족의 2.8배를 차지하고 있다. 이와 같이 우리나라에서 한 부모 가정이 차지하는 비율이 크게 변하지 않는다면, 이는 곧 여러 가지 복잡한 문제를 발생시킨다. 즉, 한 부모 가정은 경제적 문제, 자녀양육의 문제, 교육문제, 정서적인 문제, 사회적인 편견과 차별 등으로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특히 사회적인 편견과 차별은 경제적인 어려움 못지않게 심각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은 개인의 역량으로 해결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며, 사회적 부담의 증가로 연결되지 않도록 사회 예방적 차원에서 가족에 대한 적극적인 국가의 정책적 개입이 필요하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