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혜부 탈장 수술실 보고서

목차

1. 마취간호 종류/특징 및 방법
1) General anesthesia
2) Regional anesthesia

2. 마취간호사의 역할
1) Intubation

3. 마취 모니터링
1) 1단계
2) 2단계
3) 3단계
4) 4단계

4. 사용한 마취법, 마취제 및 보조제

5. 수술실 간호

6. 회복실간호

7. 서혜부 탈장 문헌고찰

본문내용

-마취간호 종류/특징 및 방법

1. 정의
: 전신마취제의 투여로 나타나는 인체의 무통각, 근육이완, 무의식과 함께 반사가 차단되는 것. 즉, 혈액순환을 통해 뇌 조직에 도달하여 중추신경계에 작용

2. 종류
: 흡입마취, 정맥마취, 산과마취, 흉부마취, 뇌신경마취, 장기이식마취, 소아마취 등

3. 준비사항
1) 과거병력, 가족력 등의 문진과 여러 가지 검사를 통해 파악
ex) 일반혈액검사, 소변검사, 전해질검사 등
2) 8시간 이상 금식(기도질식, 흡인성 폐렴 예방)
3) 기저질환으로 혈압약 복용은 담당 의료진의 안내에 따라 물 조금과 함께 복용
4) 수술부위 피부는 상처X, 털 제거(감염 예방)
5) 안경, 콘택트렌즈, 의치, 손목시계, 반지, 목걸이, 팔찌 등 병실에 맡겨 두도록 함
5. 시술방법
1) 환자의 활력징후 측정 후 각종장비 환자 몸에 부착
2) 환자의 얼굴에 산소마스크를 대고 천천히 호흡을 요구, 정맥 카테터를 통해 수면제 투여
3) 흡입마취제 혹은 정맥마취제 지속적 투여하면서 근이완제 투여, 산소마스크를 통해 환자의 호흡 보조
4) 기관 내 삽관을 통해 튜브 삽관 후 마취기에 연결하여 산소와 마취제가 흡입되도록 기계 환기를 시킴
5) 마취과 의사는 지속적으로 환자 활력징후 감시하며 마취심도를 조절
6) 수술이 끝나면 마취제 투여 중단 → 산소만을 흡입시켜 체내에 남아있는 마취제 배출 → 의식 서서히 회복
7) 환자의식과 자발 호흡이 회복 시 기관 내 튜브제거 → 회복실 옮긴 후 관찰 → 환자 의식회복 시 병실로 옮김

4. 소요시간
: 수술 종류, 환자 상태에 따라 다양

5. 부작용
: 각성의 지연, 기도폐쇄, 무기폐, 폐렴, 메스꺼움, 구토, 배뇨곤란, 저체온 등등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