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정의 및 특성
2. 원인
1) 생물학적 요인
2) 심리사회적 요인
3) 유발 스트레스 요인
3. 조현병의 주요 질환
1) 임상경과
2) 행동특성
3) 진단기준
4. 기타 조현병 스펙트럼 장애
1) 망상장애(Delusional disorder)
2) 단기정신병적 장애(Brief psychotic disorder)
3) 조현양상장애(Schizophreniform disorder)
4) 조현정동장애(Sxhizoaffective disorder)
5) 물질/약물로 유발된 정신병적 장애(Substanceinduced psychotic disorder)
6) 의학적 상태로 인한 정신병적 장애(Psychotic disorder due to another medical condition)
7) 정신장애와 관련된 긴장증(Catatonia associated with another mental disorder)
8) 의학적 상태로 인한 긴장증적 장애(Catatonic disorder due to another general medical condition
5. 치료방법
1) 약물치료
2) 정신치료
6. 간호과정
1) 간호사정
2) 간호진단
3) 간호목표
4) 간호중재
5) 간호평가
7.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정의 및 특성
조현병은 현실에 대한 왜곡된 지각, 비정상적인 정서체험, 사고·동기·행동의 총체적인 손상과 괴리 등을 수반하는 정신장애를 말한다. 망상, 환청, 와해된 언어, 정서적 둔감 등의 증상과 사회적 기능에 장애를 일으킬 수 있는 질환이다.
조현병의 기본 증상은 감정의 둔마(affective blunting), 자폐증(autism), 연상이완(associative loosening), 양가감정 (ambivalence)이 4가지로, ‘4A 증상’이라고도 한다.
19세기 이후부터 하나의 질병으로 분류되며 그 전까지는 조기치매, 긴장증, 파과증 등으로 불려왔다. 우리나라에서는 2012년 1월부터 ‘조현병’이라는 이름으로 사용하였다. 이는 현악기가 정상적으로 조율되지 못했을 때와 같이 혼란스러운 상태와 았다는 데서 비롯되었다.
발병연령은 15~45세로 비교적 젊은 나이에 발병하기 쉽다. 발병은 사회 경제적으로 낮은 계층에서 발병한 경우가 더 높다. 이를 통해 스트레스가 많은 사람들에게 발생할 수 있다는 가설이 존재한다. 정신과 입원 환자의 80~90%가 조현병이며, 20~30%의 환자는 정상 생활을 하고, 절반의 환자는 반복 입원, 증상 악화 등으로 결과가 좋지 않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