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역학_동작과 운동형태에 대해 설명하시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동작
1) 시상면 동작
2) 관상면 동작
3) 수평면 동작
4) 특수한 동작
(2) 운동의 형태
1) 선운동
2) 각운동
3) 복합운동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운동역학에 있어서 기준면이란 신체의 정 가운데를 지나지만 수많은 인체의 분절들은 가 쪽에 대부분 있으므로 분절 동작은 대체로 기준면에서 이루어지지 않는다. 기준면과 평행을 이루는 면들은 무수히 많다. 기준면과 평행을 이루는 면들도 기준면이라 가정한다. 그래서 인체 전체의 동작뿐만 아니라 각각의 관절이나 분절의 동작 또한 기준면과 평행인 면에서 발생한다면 세 개의 기준면과 기준 축으로 표현할 수 있다.

Ⅱ. 본론

(1) 동작

1) 시상면 동작
먼저 걸어가는 동장을 상상해 보면 이러한 동작은 시상면에서 이루어진다. 이 경우 대부분의 관절 동작도 시상면 동작이다. 대표적으로 어깨, 엉덩이, 무릎관절에서 팔과 다리가 움직이며 관절의 각도가 작아졌다 커지기를 되풀이한다. 또한 시상면에서 내외 축을 중심으로 하여 관절의 각도가 작아지는 동작을 굽힘이라고 하는데 해부학적인 자세에서 멀어지는 것이다. 반면 각도가 커지는 동작은 폄이라 하고 해부학적인 자세로 돌아가는 것이다. 굽힘과 폄은 목과 몸통, 어깨, 팔꿈치, 손목, 손가락, 엉덩관절, 무릎, 발목, 발가락 등의 우리 신체에 있는 관절 대부분에서 발생하는 동작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