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 문제 및 연구 방법
3. 관련 선행연구
Ⅱ. 본론
1. 태권도 철학의 정의 및 개념
2. 태권도 철학에 관한 생각
3. 한국 태권도의 발전방향
Ⅲ. 결론 및 제언
1. 결론
2. 제언
IV. 참고문헌
본문내용
철학은 ‘왜’ 라는 지적 호기심에서 시작되는 질문으로 이것은 해당 질문에 대한 역사적인 흐름과 현대에 와서 어떠한 가치와 인식을 가지는지에 대한 것을 고찰하는 것이다(이학준, 2014). 이것은 곧 정체성이며 ‘학문’이라는 미명하에 과거의 발자취부터 현재 그리고 미래의 나아갈 방향성이라 할 수 있다. 태권도 철학을 이와 같은 정의에 비추어 본다면 태권도의 역사적인 흐름과 현대에서 태권도가 어떠한 가치와 인식을 가지는지에 대해 고찰하는 것이 결국 태권도의 과거이자 현재이며 미래의 나아갈 방향성에 대해 고민하는 학문으로 짐작할 수 있다.
태권도 철학에 관한 연구는 이미 진행되고 있으며, 태권도의 기원을 찾고 정체성을 규명하는 것에서부터 시작되었다(이창후, 2000). 하지만 태권도 철학은 어떠한 한 분야에 비추어 완전히 확립되었다고 보기는 어려우며, 윤리학과 미학, 교육학 등 전체를 포괄하는 내용의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아 이에 대한 여러 의견등이 분분하며 아직까지도 연구가 지속되고 있다(이학준, 2014).
태권도란 대체 무엇인가? 태권도는 오래된 무도이며 스포츠이며 수련을 목적으로 하고, 즐거움과 재미를 주고 신체를 단련할 수 있는 운동이다(이학준, 2014). 또한 다양한 곳에서 배울 수 있으며 학교체육이자 스포츠이며 운동으로써 생활체육이자 교육과정의 한 획, 우리의 고유한 무도이자 세계속에서 가장 대한민국의 정서를 잘 담아낸 활동으로 볼 수 있다. 이에 태권도 철학은 이러한 모든 내용을 아우를 수 있어야 하며 다양한 시각에서 바라보는 철학적 사유를 포괄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태권도 철학에 대한 단편적인 시각은 오히려 태권도가 가진 여러 장점과 강점, 의미와 가치를 축소시킬 수 있는 우려를 가질 수 있다. 그러므로 태권도 철학에 대한 사유와 복합적인 시각의 연구가 필요하다.
우리나라에서는 현재 3만명 이상의 태권도 종사자가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