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차
I. 서론
II. 본론
1. 태권도 개념
1) 태권도의 정신
2) 태권도의 필요성
2. 태권도 교육의 가치
1) 개인적 차원
2) 사회적 차원
3. 태권도 사범의 역할 수행을 위한 교육
1) 태권도 사범의 정체성과 역할수행
2) 태권도 사범교육의 흐름
III. 결론
IV.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 논문은 태권도의 세계화와 대중화에 요구되는 태권도 사범교육의 의미에 대하여 고찰하고 그에 따른 개선점을 모색함으로써 태권도 사범의 역할수행과 발전방향에 대하여 논의한다.
태권도가 국기(國技)로 법제화 되었던 2018년 이후 현재까지 많은 발전을 이뤘다. 특히 지난 해 개원 50주년을 맞이한 국기원은 2023년을 “세계태권도본부 재도약 원년”으로 삼고 태권도의 발전을 위한 전략을 강화하기로 하였다(국기원, 2023). 그 중 하나로 태권도의 세계화를 위해 힘썼으며, 캐나다 정부가 “태권도의 날”을 공식 지정하는 등의 쾌거를 이뤘다. 국기인 태권도가 세계화 되는 것은 우리나라를 세계에 알리는 역할과 동시에 국가적 위상을 높이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태권도의 새로운 동향은 대중화에 있다. 아동 및 청소년이 주로 수련하던 과거와 달리 현재는 개인 신변보호 등을 위한 목적으로 태권도를 수련하는 성인들이 증가하고 있다. 태권도가 대중화되고 있는 것은 예술계의 동향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뮤지컬 <태권, 날아올라>와 <아갓탤>이 대표적 예이다. 태권도를 세계화 하는 것이 국가의 위상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면, 대중화는 국민의 신체 및 정신건강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급격한 사회변동을 겪으며 다양한 사회병리 현상을 경험하는 현대인들에게 무엇보다 필요한 공동체 의식과 신체활동의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까닭이다.
이처럼 태권도가 세계화되고 대중화 되어가는 데에는 그것을 실행하는 사람 즉 수련을 희망하는 수요자가 있어야 한다. 그리고 태권도에 깃든 정신과 기술을 올바르게 가르치고 전수할 수 있는 사람 즉, 사범이 반드시 필요하다. 태권도가 가진 정신과 가치를 있는 그대로 전수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그것이 단순한 무술이나 체조가 아닌 한 국가의 역사와 민족의 정신을 잇는 ‘국기’이기 때문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