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권도장 사범의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과 지도전략 (3)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배경
2. 연구의 목적
3. 연구방법

Ⅱ. 이론적 배경
1. 태권도의 정의
2. 태권도 사범의 정의
3. 태권도장의 교육과정

Ⅲ. 태권도장 사범의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과 지도전략
1. 태권도장 사범의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
2. 태권도장 사범의 지도전략

Ⅳ. 결론

V. 참고문헌

본문내용

태권도는 손과 발의 관절을 사용하여 주 무기화 될 수 있도록 막기, 차기, 지르기, 찌르기, 치기 등의 기술적인 공방의 원리로 신체단련을 통한 자기극복 및 인격수양이며(김동훈, 2007), 남녀노소 누구나 아무런 무기를 지니지 않고 언제, 어디서나 손과 발을 사용해 방어와 공격의 기술을 연마하여 심신의 단련을 통한 인간다운 길을 걷도록 하는 무도이자 스포츠이다. 태권도는 현재 대한민국의 국기로 정식 지정되어있는 대한민국의 문화유산이며, 전 세계적으로 200개가 넘는 국가에서 수련하고 있는 무도 스포츠이며, 올림픽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어 지금까지 인정받고 있는 우리나라의 자랑스러운 문화이다(김영복, 2022). 이러한 태권도를 수련한다는 것은 태권도 활동에 참여하는 경험으로 하여금 신체 뿐만 아니라 몸과 마음, 머리를 균형 있게 발달시키면서 사랍답게 살아가는 길을 창조하고 탐구하는 인간으로 나아감과 동시에 사회화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이승행, 2003).

현대사회에서 태권도는 단순히 자기방어를 위한 싸움 기술을 익히는 차원을 넘어서 신체적 능력을 기르고 자기개발을 이루고 사람들과 함께 어울리면서 정의롭게 살아가는 예절바른 사람을 교육하는 활동으로 인정받고 있다. 이처럼 태권도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긍정적으로 자리잡는 상황에서 수많은 선행연구를 통해 태권도 수련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긍정적인 효과들이 입증되어 사회 전반에 확산되기 시작하면서 태권도 교육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그리고 태권도 교육에 대한 수요의 증가는 곧 태권도장을 비롯한 특정 장소에서 수련생들을 지도하는 태권도 지도자와 수련생들을 대상으로 태권도를 보다 효과적으로 지도하기 위해서 수립된 태권도장 교육과정에 대한 관심으로도 이어지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선행연구에 따르면 아직까지 국내에서 태권도장에서 이루어지는 교육과정에 대한 합의된 내용은 부재하며, 태권도 사범의 재량에 맡겨져 각 도장의 특성이나..

<중 략>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