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문헌고찰
1. 폐렴
Ⅱ. 사례연구
1. 간호력 사정
2. 진단 검사
3. vital sign
4. 약물 치료
5. 간호과정
본문내용
1) 정의 및 분류
폐렴은 세균, 바이러스 등의 미생물로 인한 감염으로 발생하는 폐의 염증이다. 병원체가 기도점막을 침입하고 폐포에 번식하면서 폐렴이 시작되는데, 번식 부위에 수분과 삼출물이 고이고, 폐포벽이 두꺼워지고 부종이 생기면서 산소 흡입과 이산화탄소의 배출 능력이 감소하게 되며 저산소혈증을 유발하게 된다.
폐렴은 다음과 같이 크게 4가지로 분류된다.
<중 략>
2) 임상증상
주 증상으로 고열, 기침, 피가 섞인 객담, 호흡시 복부통증, 찌르는 듯 한 흉통, 늑막통, 두통, 전신쇠약, 동통, 호흡곤란, 저 산소혈증, 청색증, 빈호흡, 얕은호흡, 빈맥, 복부팽만, 악설음, 천명음, 진탕음, 기관지 호흡음, 다량의 ᄄᆞᆷ 배출이 있으며 떄때로 오심, 구토, 설사, 황달 등이 있다.
3) 발생 빈도
늦은 가을과 겨울에 바이러스성 또는 감기로 인해 지역사회에서 감염된 폐렴의 발생빈도가 높다. 지역 사회에서 감염된 폐렴은 항생제요법에 효과적으로 반응하지만 빈도에서는 병원에서 감염된 폐렴보다 흔하다. 병원에서 감염된 폐렴은 사망률이 20~50%에 이른다. 저상소혈증, 환기부전, 무기폐, 늑막삼출증, 늑막염 등의 합병증이 있는 경우 사망률은 더 높아진다.
4) 진단검사
① 객담과 혈액 검사
– 전혈구 검사: 백혈구수, 혈침 속도, CRP 증사, BUN/Cr 증가
– 수분전해질 불균형 발생
– 혈액 배양검사: 혈류에 세균 침입여부 파악
– 분비물 도말 및 배양: 객담, 인두 분비물, 기관지 흡인물
– 균 감수성 검사
– 혈청학적 검사: cold agglutinin, mycoplsma 항체 등
– 동맥혈 가스 분석: 산소공급이 필요한지를 나타냄
– 흉막 삼출물 검사
– 소변 검사(혈뇨, 농뇨, 단백뇨 확인): 폐렴환자 중 패혈증 환자의 소변에서 나타날 수 있다.
② 흉부 방사선 검사(후천적 및 측면 촬영): 폐분절, 폐엽, 한쪽 폐 또는 양쪽 폐 등의 밀도 증가를 보인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