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모성핵심술기
1) 분만기전
2) 자궁수축 사정
3) 내진을 통한 분만진행 사정
4) 분만세트준비
5) 유도분만 간호
6) 제왕절개분만 간호
7) 자궁퇴축 사정
2. 동영상을 통해 새롭게 알 게 된 것
3. 본인의 느낀 점이나 소감
본문내용
5) 분만기전
분만은 태아가 자궁으로부터 세상에 나오는 생리적 과정
만삭분만은 37~42주 사이에 이루어진다. 규칙적인 자궁수축의 시작으로 분만이 시작된다.
규칙적인 자궁수축은 자궁경관의 소실과 개대를 일으킨다.
· 정상적인 두정위 자연분만의 기전: 태아가 성공적으로 산도를 통과하기 위해 태아의 머리위치가 산도에 적응하며 변화하면서 이루어진다.
① 진입
선진부의 가장 큰 직경부분이 골반입구 아래로 내려오는 것
② 하강
골반을 통해 선진부가 아래 방향으로 내려오는 것
③ 굴곡
태아머리가 하강하면서 태아 머리가 수동적으로 가슴 쪽으로 굴곡
→ 완전한 굴곡이 이루어져야 태아 머리의 가장 작은 직경으로 골반을 잘 통과할 수 있다.
④ 내회전
골반모양의 저항에 따라 태아의 후두가 치골을 향해 회전
→ 모체의 골반입구는 횡경선이 길어 아두는 횡위로 진입하지만, 중골반과 골반출구는 전후경선이 길어 아두가 만출되기 위해서는 회전이 필요하다.
⑤ 신전
태아가 내려와서 질 입구에 도달한 후 일어난다.
→ 하강으로 인해 후두의 기저가 치골의 아래 면에 닿게 된다.
→ 태아머리는 신전하면서 분만되고 치골근처에서 회전한다.
⑥ 외회전
아두가 만출되고 바로 골반 입구에서 원래 진입 시, 아두 머리 상태로 머리가 회전하여 머리, 등, 어깨를 나란히 정렬한다.
⑦ 만출
태아의 나머지 부분이 배출되는 것
→ 머리가 나오고 외회전이 된 후에는 추가적인 하강으로 앞쪽 어깨가 치골 쪽으로 나온다.
→ 앞 어깨가 치골 아래에서 어깨가 회전하면서 태아머리가 분만될 때와 비슷하게 만출된다.
나머지 몸통부분은 대개 어려움 없이 분만된다. 태아가 완전히 만출 되면 분만이 종료된다.
* 태아의 분만기전을 나누어 설명하였으나, 분만 시 태아의 움직임은 동시에 복합적으로 나타난다.
6) 자궁수축 사정
분만과정에서 자궁수축은 자궁에서 태아와 태반을 만출시키는 불수의적으로 작용하는 일차적적인 힘이다. 효과적인 분만이 진행되기 위해서는 규칙적인 자궁수축이 진행되어야 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