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간호학 실습 데일리스터디(실습일지)

목차

1. 고위험 신생아

본문내용

▶ 고위험 신생아의 분류
 크기에 따른 분류
LDW: 제태기간과 관계없이 출생 체중이 2500g 미만인 신생아
SGA: 10백분위수 미만 신생아
AGA: 제태기간에 적절한 체중아
LGA: 90백분위수 이상 신생아

 제태 기간에 따른 분류
Preterm: 출생 시 체중에 관계없이 임신 37주 이전에 출생한 신생아
Full term: 출생 시 체중에 관계없이 임신 37-42주 사이에 출생한 신생아
Post term: 출생 시 체중에 관계없이 임신 42주 이후에 출생한 신생아

▶ 미숙아 및 저출생 체중아의 원인 및 신체적 특성
 정의: 출생 시 체중에 관계없이 임신 37주 이전에 출생하거나 최종월경일에서 259일 전에 태어난 신생아
 원인: 특별한 이유는 밝혀지지 않았다.
[미숙아와 저출생체중아의 빈도와 연관된 여러 요인]
산모: 태반/자궁이상, 산모질환, 미숙아 출산력, 다태임신
태아: 염색체이상/선천성 기형, 다태아 등이 거론되고 있다.
+다태아 중 출생 체중 2500g 미만의 저출생 체중아가 57%로 다태아의 2/3가 저출생 체중아이다. 임신부의 고령화에 의한 난임과 이로 인한 보조생식술을 통한 인공임신이 증가할 것이 예상되므로 저출생체중아의 출생비율이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 신체적 특성
태아성장은 두미진행을 하므로 재태기간이 짧은 신생아일수록 신체비율상 머리가 크다.
– 피부: 진피와 표피 사이의 결합이 감소되어 있고 각질층이 미성숙해서 피부손상이 잘 일어날 수 있다. – 재태기간 34주 정도의 신생아는 피하지방이 상대적으로 적으므로 쭈글쭈글하게 보인다. 작은 미숙아는 오히려 통통하게 보이는데, 이는 부종 때문이며 곧 없어진다. 미숙아는 전신에 솜털이 많다. – 그러나 극소저출생체중아의 경우는 솜털이 없다.
– 머리와 목: 머리카락은 가늘고 양털 다발같이 뭉쳐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