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2020년 10월 26일 월요일
1)<조현병 대상자>
2)<우울장애 대상자>
3)<양극성 장애 대상자>
2. 2020년 10월 27일 화요일
1)<불안관련장애 대상자>
2)<강박관련장애 대상자>
3)<외상 및 스트레스관련 장애 대상자>
3. 2020년 10월 28일 수요일
1)<해리장애 대상자>
2)<인격장애 대상자>
3)<신체화 장애 대상자>
4. 2020년 10월 29일 목요일
1)<섭식장애 대상자>
2)<물질관련장애>
3)<신경인지장애>
본문내용
의사소통 내용(상황)
– 김00님: “잠을 자려고 누우면 누군가 저를 해칠 것만 같은 기분이 들어요. 자꾸 귀에서 “널 죽일 거야.”라는 날카로운 목소리가 들려요. 저 이러다가 죽으면 어떡해요 선생님? 지금도 주변에 있는 사람들이 절 죽일까봐 무서워요.”
– 간호사: “00님은 누군가 자신을 해칠 것 같아 무섭고 불안하시군요. 일단 여기는 병원이어서 안전합니다. 00님께 무슨 일이 생기면 저 뿐만 아니라 병원에 있는 모든 사람들이 00님을 도와드릴 거예요. 제가 곁에 있으니 너무 걱정 마세요.”
치료적 의사소통 내용 기록
– 느낌 반영: 대상자가 말한 느낌으로 주의를 다시 돌리는 기술. 반영은 간호사가 대상자에게 감정이입 되었음을 알려주는 효과를 주어 신뢰형성에 도움이 된다.
· 대상자: “잠을 자려고 누우면 누군가 저를 해칠 것만 같은 기분이 들어요. 자꾸 귀에서 “널 죽일 거야.”라는 날카로운 목소리가 들려요. 너무 무서워요.”
· 간호사: “00님은 누군가 자신을 해칠 것 같아 무섭고 불안하시군요.”
-현실감 제공: 현실에 대한 지각이 왜곡되어 나타날 때 간호사가 지각한 내용을 알려주는 기술. 환각, 착각 등에 대한 간호사의 반응 시에 활용된다.
· 대상자: “자꾸 귀에서 “널 죽일 거야.”라는 날카로운 목소리가 들려요. 지나가는 사람들 중 누군가가 절 납치해서 칼로 절 찌를까봐 무서워요.”
· 간호사: “김00님 여기는 병원입니다. 00님에게 무슨 일이 생긴다면 저 뿐만 아니라 병원에 있는 모든 사람들이 당신을 지켜줄 테니 걱정하지 않아도 괜찮아요.”
비치료적 의사소통 내용 기록
– 느낌을 얕잡아 봄: 대상자는 심각하게 생각하여 한 말에 간호사가 그 심각성이나 의미를 약화하여 반응하는 것으로 간호사의 이해가 부족할 때 나타난다.
· 대상자: “어느 날 갑자기 누군가 절 죽일 것 같은 생각이 자주 들어요. 그럴 때마다 너무 무섭고 불안해요.”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