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통합교육의 정의와 개념)
Ⅱ. 본론
1. 시간의 흐름에 따른 통합교육의 정의와 개념 변화
2. 통합교육의 필요성
Ⅲ. 결론 (통합교육의 방향과 지향점에 대한 견해)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에서의 통합교육은 “특수교육대상자가 일반학교에서 장애유형· 장애정도에 따라 차별을 받지 않고 또래와 함께 개개인의 교육적 요구에 적합한 교육을 받는 것이다.”라고 정의된다. 또한 통합교육은 “장애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바탕으로, 장애학생이 사회에서 한 구성원으로서 본인의 능력과 그에 적절한 교육을 실현하는 것이다.”라고도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통합교육의 목적은 물리적인 통합뿐만 아니라 장애 학생과 비장애 학생 간 이해 및 교류를 바탕으로 하여 모든 학생의 포용적인 사회적응 및 긍정적 태도를 통하여 교육의 효과를 높이고자 하는 것에 있다.
통합교육은 integration(통합교육), full integration, inclusion, full inclusion(완전통합교육), full inclusive education(모든 학생을 위한 통합교육)등과 같이 다양한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