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자치의 현황과 과제

목차

1. 학교자치의 개념
2. 학교자치의 역사
3. 우리나라 학교자치 현황
4. 학교자치의 성공적 추진을 위한 보완사항
5. 참고문헌

본문내용

학교자치 용어의 등장: 2017년 교육자치정책협의회가 발표한 ‘학교 민주주의 실현을 위한 교육자치 정책 로드맵'
학교단위의 교육자치로 학교구성원들이 학교의 당해 교육적 과업을 자주적으로 결정 및 실행하며 그 결과에 책임지는 것
광의: 학교의 교육계획 및 활동 등을 학교 교육의 당사자가 책무성을 가지고 자주적, 주체적으로 결정 및 운영하는 것
협의: 학교운영의 자율성 존중을 위해 법령 및 조례를 통해서 교직원, 학생, 학부모, 지역주민의 학교운영 참여권과 보호자의 교육의견 제시권, 학생의 자치활동 보호권을 보장하는 것
분권화: 중앙 및 지역 교육행정 기관에 귀속된 교육활동과 학교 경영과 관련한 중요 권한이 일선 학교에 위임
자율성: 단위 학교가 스스로 교육과 학교운영에 필요한 결정을 행함
참여적 의사결정: 학교의 이해 당사자인 교직원과 학부모, 학생, 지역사회 인사의 참여
책무성: 결과에 대한 책임을 단위학교가 지는 것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