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문헌고찰
2. 간호력
1) 간호력
2) 간호사정
3) 진단적 검사(혈액 및 소변, 심전도 등)
3. 입실후경과
4. 간호과정
1) 간호진단 목록
2) 우선순위에 따른 간호진단
3) 간호과정적용
본문내용
⒊낙상 위험 평가도구로 낙상위험성을 평가하였다.
– 대상자의 상태가 급성기이므로 24시간마다(매일) ‘Morse의 낙상 위험 사정 도구’를 사용하여 낙상위험도를 평가하였다.
– 낙상유발 가능 약품 복용환자, 이차적 진단 있음, 3개월간 낙상 경험 있음, IV 있음, 자신의 기능수준은 과대평가하거나 잊어버림에 해당.
총 75점으로 낙상고위험군에 해당됨.
⒋낙상 위험을 증가시키는 모든 요인을 사정하였다.
– 대상자는 의식 수준 저하, 혼돈 증상으로 낙상 위험이 증가된 상태였다. 낙상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는 약물(에필라탐) 투약 후 더욱 주의깊게 관찰했다.
5. 자주 순회하여 대상자의 전반적인 상태와 주변 환경을 확인하였다.
⒍ 대상자에게 낙상 고위험군 팔찌를 착용시키고 낙상 고위험군 팻말을 침상 등 잘 보이는 곳에 부착하였다.
7. 대상자의 뇌압(ICP) 상승을 방지하기 위한 중재를 시행하였다.
– 침상 머리를 30~45° 정도로 올린 자세를 취해주었다.
8. 대상자에게 적절한 지남력을 제공한다.
– 대상자가 시간, 장소에 대한 지남력이 없고 혼돈 증상이 있을 때 일관적으로 지남력에 대한 정보를 제공했다.
– “여기 지금 병원이에요”라고 정보를 제공한 뒤에 다음 자리보기 시간에 “지금 여기가 어딘지 아시겠어요? 병원이면 고개 끄덕여보세요, 집이면 고개 끄덕여보세요”라고 질문하였다.
-“지금 밤이라서, 주무실 시간이에요”
장기 목표
1. 입원기간동안 대상자는 낙상을 경험하지 않는다.
-> 11/16일까지는 낙상을 경험하지 않았다. -> 부분달성
단기 목표
1. 3일 안에 대상자는 장소, 시간에 대한 지남력이 있다.
“지금 여기가 어딘지 아시겠어요? 병원이면 고개 끄덕여보세요, 집이면 고개 끄덕여보세요”라고 질문하였을 때 병원에서만 고개를 끄덕여서 장소에 대한 지남력은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시간에 대한 지남력은 확인하지 못하였다. -> 부분달성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