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저번 실험에 대한
1. 실험 결과 및 분석
2. 토의
3. 참고 자료
Ⅱ. 다음 실험에 대한
1. 실험 목적
2. 실험 원리
3. 실험 기구 및 장치
4. 실험 방법
5. 참고 자료
본문내용
실험 결과 그래프 사진은 위와 같다.
위의 실험 결과 그래프를 토대로 결괏값 표를 엑셀을 이용하여 만들었다.
T1의 경우 H5를 기준으로 H5=2*3.14*(SQRT(D2/980)) 식을 이용하여 구하였다.
T2의 경우 I5를 기준으로 I5=2*3.14*(SQRT((D2/980)*(1+((RADIANS(F5))*(RADIANS(F5))/16)+(2*F1*F1)/(5*D2*D2)))) 식을 사용하여 구하였다. (단, g=9.8m/s^2, π=3.14, 계산의 기본 단위는 m, s 로 하였다)
곱셈과 덧셈의 유효숫자에 맞게 정리한 결과는 위와 같다. (단, 1은 1.000으로 계산하였다)
일반물리학실험 교재의 (8)번 지시에 따라 분석을 해 보면,
보수적으로 보면 우리 실험에서 1, 2, 3회차 실험 모두 단순조화운동으로 근사할 수 있는 영역은 존재하지 않는다. 그래프 – 1에서 육안으로도 점차 줄어드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실험방법 (3)의 주의사항에도 진폭이 적어야 sinθ≅θ 의 근사식을 쓸 수 있다고 되어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