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의 유형 및 형태(개방형 질문, 폐쇄형 질문, 찬반형 질문, 체크리스트, 다항선택식 질문, 서열식 질문, 평정식 질문)

목차

1. 개방형 질문
2. 폐쇄형 질문
3. 찬반형 질문
4. 체크리스트
5. 다항선택식 질문
6. 서열식 질문
7. 평정식 질문
8. 참고문헌

본문내용

질문의 형태는 직접질문과 간접질문을 들 수 있으며, 구조적 질문과 비구조적 질문으로 나눌 수 있다. 어떠한 질문 형태를 취하느냐에 따라 대답이 완전히 달라질 수도 있으므로 이것은 매우 중요한 문제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질문 형태의 선택에 어떤 일반적인 원칙 이 있는 것은 아니 며 연구의 진행절차, 주제의 성격, 응답자의 교육 수준, 잔기가 의도하는 분석과 해석의 종류 등을 고려해서 결정해야 할 것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여러 가지 형태를 적절히 혼용하는 것이 좋다.

1) 개방형 질문
개방형 질문(open-ended question)은 자유롭게 응답할 수 는 질문으로 ‘자유응답질문’이 라고도 한다.
이처럼 개방형 질문은 경우에 따라 필요하면 얼마든지 자세하게 물어 볼 수 있으므로 응답자의 의견, 태도, 동기 등에 대해 보다 확실하고 정확한 대답을 얻을 수 있다. 또 질문 자체에 융통성을 부여할 수 있어 새로운 사실을 발견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 따라서 이러한 질문은 예비조사나 탐색조사 등 문제위 핵심을 알려고 할 때 흔히 쓰이며 대규모 조사보다는 규모가 작은, 즉 조사단위의 수가 적은 조사에 더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상당히 표준화된 조사표에서도 어떤 특정한 문제를 좀 더 깊이 알려고 할 때에는 문항으로 삽입할 수 있다.
개방형 질문의 단점은 응답의 해석에 편견이 개입될 소지가 많고, 응답에 많은심적 부담을 줄 수 있으며, 폐쇄형 질문보다 시간이 많이 걸리고, 표현능력이 부족한 응답자에게 적용하기 에는 어려움이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