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관찰방법의 조직화에 따른 분류
2. 관찰의 절차, 조직성에 따른 분류
1) 참여관찰
2) 준참여관찰
3) 비참여관찰
3. 관찰대상의 통제에 따른 분류
4. 통제관찰
1) 관찰내용
2) 관찰의 기록
3) 관찰의 신뢰도와 타당도
5. 참고문헌
본문내용
1) 관찰방법의 조직화에 따른 분류
관찰에서 통제 구조화 또는 조직화 그리고 무엇을 관찰하고 기록할 것인지, 어느 것을 무시해도 좋은지 하는 관찰대상의 측면을 특정화한다는 뜻에서 구조화 ․ 조직화하는 것이고, 관찰하는 바를 측정하고 기록하는 기법과 도구를 정교화 한다는 뜻의 구조화다. 체계적 관찰로서 관찰대상의 특정화와 연장의 표준화를 시도하기 때문에 이런 관찰법을 두고 비록 자연스러운 상황 속에서의 자연스러운 행동을 대상으로 삼아 관찰한다 해도 이것을 체계적 관찰도구로서 규정하는 경우도 있다.
2) 관찰의 절차, 조직성에 따른 분류
관찰의 절차, 조직성에 따라 조직적 관찰법과 비조직적 관찰법, 그리고 참여의 정도에 따라 참여관찰, 준참여관찰, 비참여관찰로 구분할 수 있다.
(1) 참여관찰
참여관찰(participant observation)은 관찰대상의 내부에 들어가서 그 구성원의 일부가 되어 공동생활에 참여하면서 관찰하는 방법으로서 관찰대상의 자연성과 유기적 전체성을 보장하게 된다. 자연성과 유기적 전체성이란 피관찰자의 행동이 관찰자의 개입으로 인해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관찰자가 없을 때 피관찰자가 나타내는 형태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은 단순히 관찰대상의 집단에 들어가서 관찰하는 것이 아니라 그 집단의 구성원의 하나가 되어 분산을 갖고 역할을 수행하면서 관찰하는 방법이다.
(2) 준참여관찰
준참여관찰(quasi-participant observation)은 참여관찰처럼 관찰대상의 생활 전부에 참여하는 것이 아니 라 생활의 일부에만 참여하는 관찰방법이다. 이 방법에서는 피판찰자 자신이 관찰을 받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
(3) 비참여관찰
비참여관찰(non-participant observation)은 조사자라는 신분을 밝히고 관찰하는 방법이므로 주로 조직적인 관찰에 많이 사용된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