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절차
2. 질문의 유관적합성
3. 질문의 내용
1) 응답자 자신과 관련된 사실 정보
2) 타인이나 주위에 관한 지식 정보
3) 사실이나 현상, 인물에 관한 믿음, 느낌, 태도 등을 알아보는 질문
4) 인간의 행위 표준이나 규범에 관한 질문
5) 현재나 과거의 행동을 묻는 질문
6) 자기의 믿음, 감정, 행동, 태도 등에 대한 자신의 의식적 이유, ‘왜’에 대한 대답을 파악하기 위한 질문
7) 자아의식 또는 자기 자신에 관해 평가하기 위한 질문
4. 조사표의 질문 유형
5. 간접질문의 종류
1) 투사법
2) 오류선택법
3) 정보검사
4) 토의완성
5) 단어연상
6. 질문지 작성 과정
7. 질문지 작성의 목적 및 범위
8. 조사항목의 선정
9. 질문의 어구 구성 및 순서 결정
1) 질문의 어구 구성
2) 질문의 순서
10. 시험조사
11. 질문지 인쇄 및 편집
12. 참고문헌
본문내용
질문지의 설계 시 고려할 사항과 절차상의 지침은 다음과 같다.
1. 절차
1/ 연구문제, 이론, 가설, 목적 등 자료수집 법(질문의 내용과 형식)과의 관계를 다시 한 번 점검한다.
2/ 얻고자 하는 정보의 성격(질문의 내용)을 규정한다.
3/ 질문의 형식과 질문 방법을 정한다.
4/ 질문을 만들고 질문지의 초안을 작성한다.
5 질문들을 배열하고 질문지를 완성한다.
6/ 사전검사를 거쳐 재수정한다.
7/ 질문지를 편집하고 질문지 응답 요령(또는 면접의 경우 면접자 지침을 별도로)을 준비한다.
8/ 부호화를 위한 지침이나 사전 부호화의 틀을 마련한다.
9/ 질문지의 외양을 결정하여 인쇄한다.
2. 질문의 유관적합성
질문의 유관적합성(relevance)이란 연구문제와의 관련성을 뜻한다. 즉 무엇을 알고자 하는지, 어떻게 얻어 내는지의 문제를 다루는 것이다. 질문지의 작성에서 무엇을 알고자 하는지는 바로 그 질문지의 유관적합성의 문제이고, 어떻게 그것을 얻어 내는지는 그 연장으로 신뢰성과 타당성을 확보하는 정확성의 문제이다.
“왜 이 질문을 하는가?”하는 의문을 제기했을 때 초보적인 듯하지만 우선 그 질문에서 얻고자 하는 정보가 연구목적에 부합하는지 대답을 지시할 수 있어야 한다. 이는 또한 연구문제와의 관련성을 뜻한다.
# 연구문제와 질문과의 유관적합성
연구문제는 연구의 목적에 따라 이론적인 것과 실천적인 것이 있을 것이므로 조사도구의 유관적 합성은 이론적 적합성과 실천적 적합성으로 귀착한다고 하겠다. 이론적인 것도 인과적 설명을 위한 가설검증, 탐색적(발견적), 그리고 서술적 정보의 획득을 주안점으로 삼을 추도 있다.
실천적인 유관적합성론 정책 수립과의 관계, 사회개혁 운동과의 관계 같은 것을 뜻하며, 연구목적에 대한 조사도구(질문지)의 유관적합성 외에도 응답자에게 실질적 혹은 이념적 관련성이 및어야 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