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프로그램 운영의 필요성 및 목표
2. 선행연구
2-1. 수업 모델
2-2. 중학교 학생들의 진로 성숙
2-3.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한 학생 참여형 과학 수업
3. 운영 대상
4. 운영 기간 및 시간
5. 기대효과
6. 프로그램 운영 내용(주차별 수업지도안)
7. 프로그램 운영의 효과성 평가방법
8. 참고문헌
본문내용
본 프로그램의 목표는 두 가지로, 중학교 3학년 학생의 진로 성숙도 향상, 적절한 미디어 수용 능력의 함양이다. <핵심이 되는 목표를 두괄식으로 제시합니다. 교육부가 고시한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르면, 이번 교육과정 개편에서는 디지털 전환에 따른 기술, 사회, 교육 변화에 대응하는 미래형 교육과정을 표방하였다. 또한 불확실성이 증가할 미래 사회에 유연하게 대응하기 위해 학생들에게 필요한 미래 역량을 중심으로 교과과정을 재구조화하였고, 미래 인재가 갖춰야 할 사고와 기술을 미리 준비하는 것이 강조되었다(박나실, 정지은, 2023).<교육부 고시 공식 교육과정 인용하면 좋습니다. 또한 이는 현재 사회가 청소년들에게 필요한 역할 모델을 충분히 제공하지 못할 수 있으며, 단순한 지식의 전달, 보고 배우는 식의 교육보다는 학생이 주체적으로 진로를 탐구할 수 있는 역량을 길러야 함을 강조한다. 현재 이루어지는 진로지도, 직업 교육은 학습자가 주도적으로 설계할 수 있는 비중이 적다고 느껴졌으며, <선행 연구만 활용하는 것도 좋지만, 이에 대해 자신의 생각을 서술하면 좋습니다. 이는 변화하는 직업 세계에 대응할 수 있는 학생을 양성하기에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학습자 중심 수업 모델 도입이 진로 교육에 필수적이며, 본 프로그램은 이를 지향한다. <프로그램
운영의 지향점
청소년기의 미래 목표는 진로 정체감에 중요한 역할을 미치고, 이에 대해 명확한 설정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미래 전망 부족으로 일탈 행동으로도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손경옥, 2021). <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