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제10장 전문가로서의 자아 유지하기
1) 의미 있는 일을 함으로써 전문가로서의 자아 유지하기
2) 전문가로서의 성공적인 삶을 확대하기
3) 개별적ㆍ적극적으로 설계된 발달 방법을 창조하고 유지해 나가기
4) 전문가로서의 자기 이해
5) 일하는 곳에서 전문가 온실 만들기
6) 고통스러운 감정을 벗어 버리기 위해 환기하기
7) “충분히 좋은” 조력 전문가
8) 초심자 시절에 흔히 겪게 되는 불안을 이해하기
9) 자신을 쇄신해 지적인 자극을 증진하고 권태와 지루함을 줄이기
10) 애매모호한 직업적 상실을 최소화하기
2. 제11장 개인으로서의 자아 유지하기
1) 개인적인 쇄신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투신하기
2) 일방적으로 돌보는 관계의 위험을 인지하기
3) 자아 돌보기
본문내용
* 의미 있는 일을 함으로써 전문가로서의 자아 유지하기
– 상담자는 대개 상담이란 일이 매우 가치 있는 일이라고 여기기 때문에 상담을 직업으로 선택한다. 인간을 위해 유익한 일을 하는 것은 대단한 의미와 목적을 부여해준다.
– 의미 있고 목적의식이 있는 일이라는 것이 어떤 때는 몹시 위험하기도 하다.
: 상담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을 때
: 자신이 ‘소진’될 때 – 우리의 일은 뭔가를 지금과 다르게 변화하도록 추구한다는 점에서 의미를 준다.
– 사람들의 삶을 돕는 상담자의 일은 우리 자신이 별로 효과적으로 일하지 못한다는 생각 을 하게 되면 쉽게 삶의 의미를 잃어버리고 지칠 수 있다. 반면에 우리가 효과적으로 일을 잘하고 있다고 느끼면, 자신을 지탱해주는 삶의 의미를 얻게 된다.
* 전문가로서의 성공적인 삶을 확대하기
– “영향력을 미친다는 것은 상담관련 상담자들의 직업상 만족을 위해 필수적이다. 능동적이 고 유능하게 일함으로써 실질적인 성과를 얻는 것은 그 자체로 우리를 유지시켜주고 보상을 준다. 성공적으로 해냈다는 피드백이나 보상 없이 일방적으로 계속 주기만 하는 관계는 누 구에게나 견디기 힘들다. … 비현실적인 기대는 특히 내담자의 성장을 기대하는 데서 나타 난다. 전문적으로 치료하고 싶다는 욕구는 종종 우리가 내담자들 삶을 전체적으로, 완전히 변화시켜야 한다는 비현실적인 욕심을 갖게 만든다.(W.N. 그로쉬& 올센, 1994)”
‘상담자에게 있어 성공이란 무엇인가? 우리는 무엇을 가지고 우리가 성공했다는 판단을 내릴 수 있는가? ’
– 상담 전문가로서의 역할
① 내담자, 학생, 환자들의 변화
: 우리가 만나는 사람들이 더 좋아지도록 돕고 있는지의 여부.
: 우리가 전문가로서 유능하다고 인정받고 자신에 대해 전문가로서의 가치감을 갖도록 하는 근거가 된다.
: 하지만 내담자들의 평가나 판단에 우리의 전문성 평가를 맡긴다면 우리 자신의 전문가로서의 자아가 손상될 가능성이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