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보장 급성 췌장염 질병보고서

목차

1. 정의
2. 췌장의 생리학적 기능
3. 원인
4. 증상과 징후
5. 진단
6. 치료
7. 간호
8. 참고 문헌

본문내용

I. 질병 보고서: 급성 췌장염
1. 정의
급성 췌장염은 십이지장으로 배설되지 못한 췌장 효소가 췌장 안에서 활성화되어 췌장 세포의 자가 소화를 유발하는 급성 염증 상태를 의미한다.
급성 췌장염은 췌장의 부종, 괴사, 출혈 등을 일으키는 치명적인 염증이다. 급성 췌장염의 증상은 원인 요인들이 제거되면 호전되는 특징을 보인다.

3. 원인
▶ 고위험 요인
① 알코올
알코올로 인한 췌장염은 주로 남성에게 흔하다. 알코올은 췌장의 분비를 자극하고, 오디괄약근의 경련을 유발하고, 췌장에서 분비되는 단백질의 구성을 변화시켜 작은 관들을 막아 췌액이 분비되는 것을 방해한다.
② 담석
담췌장관 팽대를 통한 담석의 이동으로 담즙이 췌장관 안으로 역류함으로써 췌장의 실질 조직이 손상을 유발한다.

– 그 외 요인: 고지혈증, 췌장을 관통하거나 외부에서 둔하게 가해지는 외상, 췌장의 국소 빈혈, 급성 췌장염과 관계되는 약물(aza-thioprine, 에스트로겐 등), 췌관 폐색, 십이지장 폐색, 바이러스성 간염
– 알코올 남용 및 담석증과 담낭염은 췌장염을 유발하는 고위험 요인.
– 따라서 과도한 알코올 섭취 및 췌장염을 유발할 수 있는 원인을 줄이는 것이 췌장염 발병을 줄이는 최선의 방법.

4. 증상과 징후
1) 상복부 통증, 등 방사통
– 췌장 피막의 부종성 팽창, 복부 내 효소 유출로 인한 국소적 복막염
– 음식 섭취로 인해 효소 분비가 자극되어 나타나는 췌관의 경련이나 췌장의 자가 소화 작용
2) 복부 팽만
– 국소적 복막염으로 인한 소장의 마비성 장폐색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