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연구목적
2. 문헌고찰
Ⅱ. 본론
1. 연구기간 및 방법
2. 사례보고서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1. 연구목적
총담관은 간에서 만든 담즙이 나가는 간내 담관과 담낭에서 나오는 담낭관이 합류하여 만나는 곳으로 십이지장까지 연결된다. 총담관 담석은 담즙을 십이지장 내로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곳에 담석이 생기는 질환으로 담관 담석에 의한 담관 폐쇄가 발생하면, 오심과 구토를 동반한 상복부의 심한 통증, 황달, 오한 및 발열의 증상이 나타난다.
본 학생은 간호 사례 적용 학습을 통하여 총담관결석을 내시경적 역행성 췌담관조영술을 통해 내시경으로 오디괄약근을 절개한 후 내시경을 통해 제거한 대상자의 사례를 분석하고 대상자의 신체적, 심리적 고통과 증상에 대한 간호문제를 연구하고자 한다. 사례 연구를 위해 담관 결석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을 학습하고 대상자에게 적용할 수 있는 간호 중재를 계획하여 미래의 간호사로서 이론적 지식을 넓히고자 연구를 시도하였다.
2. 문헌고찰
① 정의
담도 : 간에서 만들어진 담즙은 간 내의 담소관으로 부터 차츰 굵은 담관에 합류해 좌간관·우간관이 되고 이것이 간문부에서 합류해 총간관이 된 뒤 담낭으로부터 오는 담낭관(bile duct)와 합류하여 총담관(common bile duct, CBD)이 된다.
② 원인
– 일차성 담관결석 : 담낭의 담석이 담낭관을 빠져나와 총담관에 결석을 형성하는 경우이다.
– 이차성 담관 결석 : 담관의 감염 혹은 담즙정체로 인하여 처음부터 총담관 안에서 결석이 만들어지는 경우로 총담관 내에서 만들어지는 담석은 세균 및 기생충 감염과 관련이 있을 수 있기에 담관 담석에 대한 치료를 시행한 후 재발 방지를 위해 원인을 제거해야 한다.
③ 임상증상
총담관 결석은 담석자체가 증상을 일으키는 것은 아니라, 담석이 담도를 막아서 증상이 발생하는데, 담도 폐쇄 발생의 급, 만성 여부, 담관 폐쇄의 정도, 담즙 내 세균오염 등은 임상양상의 정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