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이론 개념 설명
3. 현실주의적 시각에서 바라본 한반도 정세
4. 자유주의적 시각에서 바라본 한반도 정세
5. 결론 및 시사점
6.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서론
한반도는 과거부터 현재까지 여러 상황들을 겪었다. 휴전 이후로 남과 북은 지속적으로 대립적인 구조였고, 여러 공동선언을 하면서 좋은 모습을 보이기도 했지만, 북한 측에서 핵을 만들고 실험하는 등의 행위로 우리에게 실망을 안겨줄 때도 종종 있었다. 또한, 작년에 남북정상회담은 4월, 5월, 9월 불과 3개월 만에 차례 열렸으며 판문점 선언이 평양 공동선언으로 이어져 한반도 평화와 번영의 새로운 급물살이 밀려오기도 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북한의 핵 문제는 시원하게 해결하지 못하였다. 심지어 북한은 최근에도 몇 번 핵실험을 하기도 했다.
우선 국민들이 생각하는 한반도 정세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자면 한반도 정세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은 긍정적이었다. 58.7%가 향후 10년 내 한반도에서 무력 충돌이 일어날 가능성을 낮게 평가했다.
그리고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이 조사한 통일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봤을 때 북한이 변화하고 있다는 점은 인정하지만, 국민들이 아직은 북한에 대해 경계심을 늦추지는 않고 있다고 분석한 의견도 있다.
간단히 말해보자면 국민들은 한반도 정세에 대해서 긍정적이지만 우려를 하고 있다. 이렇게 아직까지는 북핵 문제, 한반도 정세에 대해 가볍게 여길 수 없다. 이와 같은 국민의 인식을 토대로 생각해 봤을 때 그렇다면 세계정치 이론들은 한반도 정세에 대해서 어떻게 분석을 하고 있는지, 어떻게 생각을 하고 있는지 궁금해졌다. 우리가 느끼고 있는 것들을 그 이론들에서는 어떤 식으로 바라보고 있는지 알고 싶어졌다.
따라서 필자는 여러 세계정치 이론들 중 현실주의, 자유주의를 선택하였고 이 2가지 이론에 대해 먼저 간단히 설명을 한 후, 현실주의와 자유주의 각각의 시각에서 바라본 한반도 정세에 관해 이야기를 한 후, 결론과 시사점을 도출해내며 마무리 지을 것이다.
2. 이론 개념 설명
먼저 현실주의에 대해서 설명을 하도록 하겠다. 우선 현실주의에서는 국가를 합리적인 권위체라고 이야기하며 국가이익을 추구하는 주요한 행위체로 간주한다.
세계정치를 권력투쟁의 장으로써 간주하며 힘과 국가이익을 중시한다. 동물 세계처럼 국가는 자국의 힘으로 즉 국력으로 살아남아야 하고 그렇지 않으면 그 국가는 사라지게 된다고 이야기하기도 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