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심증 간호과정(문헌고찰 ㅇ, 간호진단 2개)

목차

Ⅰ.문헌고찰
Ⅱ.간호과정 
Ⅲ.참고문헌

본문내용

5. 치료
1) 급성기의 침습적 치료
(1)대동맥내풍선펌프
급성기에 대동맥내풍선펌프를 함으로써 심근의 산소요구도를 감소시키고 심장의 기능회복을 도모할 수 있다.
(2)피부경유 심폐순환보조
급성심근경색증의 경우 심장의 펌프기능이 약화되어 생명에 지장을 초래할 수도 있다. 이때 선택하는 치료방법 중의 하나가 PCPS로 넙다리혈관을 통해 관을 삽입하여 인공적으로 심장과 폐를 순화하는 시스템을 만들어 주는 장치이다.
(3)지속적 콩팥대체요법
급성심근경색증 환자는 심장의 펌프기능이 약화되면서 각 장기로 가는 혈액량이 감소한다. 이에 따라 콩팥으로 가는 혈액량도 감소되어 혈액여과기능을 제대로 할 수 없게된다. CRRT는 일시적으로 인공적인 콩팥기능을 해주어 몸 안의 독소를 배출해 줄 뿐만 아니라 수분이 축적되는 것을 방지한다.

<중 략>

Ⅱ. 간호과정(SOAPIE)
#우선순위 간호문제
1. 심근허혈
2. 통증
3. 심근수축력 저하
4. 외과적 절개

간호계획
<진단적 계획>
1. 4시간마다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2. EKG 모니터를 통해 환자의 상태를 관찰한다.
3. NRS 통증사정도구를 이용해 대상자의 통증 양상을 관찰한다.
4. 혈액검사 상 심근효소 수치를 관찰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