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물연대 파업에 대한 협상“ 사례

목차

I. 서론

II. 본론
1. 화물연대 파업 전개 과정과 양측의 주장
1) 원인
2) 전개 과정
A. 2021년 11월 총파업
B. 2022년 6월 총파업
C. 2022년 11월-12월 총파업
2. 협상전략의 관점에서 바라본 화물연대 파업

III. 결론

IV. 참고문헌

본문내용

인간 사회에서 협상은 필수적이다. 현대 사회에서 사람과 사람 사이의 관계에는 끊임없이 거래와 교환이 오고간다. 가족이나 친구, 연인처럼 상대방에게 대가나 보상을 바라지 않고 내가 가진 무언가를 상대방에게 주는 관계도 있지만 대부분의 인간관계는 내가 상대방에게서 원하는 것을 얻기 위해 내가 가진 무언가를 상대방에게 주어야 하는 관계이다. give and take의 관계라는 것이다. 이런 주고받는 관계, 기브앤테이크의 관계에서는 나는 가능한 한 상대방에게 적게 주고 상대방으로부터는 가급적 많은 것을 얻고자 하는 시도가 나타난다. 최소한 나와 상대방의 교환이 등가 관계를 이루게 하기 위해서도 노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교환의 관계에서 실제로 교환이 성사되기까지 나와 상대방 사이의 의사소통의 과정을 ‘협상’이라고 부른다. 협상은 꼭 갈등과 분쟁 상황에서만 필요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연봉 협상의 경우 근로자인 나와 사용자인 회사는 서로가 서로에게 필요한 존재이다. 나에게는 내가 다니는 회사가 보장해주는 안정적인 급여와 복지, 고용 안정성이 필요하고, 회사는 내가 그들에게 제공하는 노무가 필요하다. 그렇기 때문에 임금협상은 상호 간에 양보할 수 있는 수준에서 최선의 만족을 찾는 방향으로 협상이 진행된다. 설령 어느 한쪽이 협상 내용에 대해 만족하지 못하더라도 그것은 아쉬움을 남길 뿐이지 그렇다고 해서 협상이 결렬되고 어느 한쪽이 관계를 이탈하는 경우(예컨대 근로자가 퇴사를 한다거나 기업이 근로자를 해고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그런데 모든 협상이 상호 건설적이고 평화롭게 진행되는 것은 아니다. 실제로 많은 협상은 첨예하게 대립하는 두 개의 이익을 두고 상호 간에 치열하게 경쟁하며, 양쪽 모두가 만족할만한 대안을 찾지 못하면 관계 자체가 틀어지게 된다. 예를 들어 기업과 기업 사이에서 어떤 계약을 성사시키기 위해 협상을 벌이다가 서로의 이해관계가 맞지 않거나 합의점을 찾지 못하면 협상은 결렬되고 두 기업은 계약을 체결하지 않는다. 관계는 그대로 끝난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