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버드학파와 시카고학파의 주장을 소개하고, 어느 학파의 입장을 지지하는지

목차

I. 서론

II. 본론
1_시카고 학파
1) 이론의 등장 배경
A. 자유주의는 왜 폐기되었나
B. 수정 자본주의는 어떠한 한계에 부딪혔나
2) 시카고 학파의 핵심 주장
2. 하버드 학파
3. 학습자기 지지하는 견해: 하버드 학파

III. 결론

IV. 참고문헌

본문내용

I. 서론
경제학을 공부하는 사람이라면 하버드 학파나 시카고 학파에 대해 한 번쯤은 들어봤을 것이다. 하버드 학파보다는 시카고 학파에 대해 더 많이 들어봤을 것이다. 하버드 학파라는 것은 엄밀한 의미에서는 시카고 학파의 상대 개념이다. 시카고 학파와 반대되는 주장을 하는 미시 경제학들이 주로 하버드 출신인 경우가 많아서 이들을 ‘하버드 학파’라고 부르는 것이기 때문이다. 즉, 시카고 학파가 먼저 존재했고, 하버드 학파는 그 후에 등장했다. 이 두 학파의 등장과 대립은 경제학의 역사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시카고 학파는 신자유주의를 상징한다. 프리드리히 하이에크, 밀턴 프리드먼, 조지 조지프 스티글러 등이 대표적인 학자이다. 이들이 정확히 어떠한 주장을 했는지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항목을 달리해서 자세히 살펴볼 것이다. 이에 반해 하버드 학파는 시카고학파의 주장대로 신자유주의 경제 정책을 실시한 결과로 나타난 각종의 사회 문제, 구조적 문제, 경제적 모순과 부작용을 시카고 학파의 이론과 주장으로는 해결하지 못한다고 주장하기 때문에 오늘날 자본주의의 모순과 부작용을 해결하기 위한 정부의 역할 확대나 규제 조치를 옹호하는 시대적 맥락과 맞닿아 있다.
본 보고서는 시카고 학파와 하버드 학파의 주장에 대해 각각 소개하고, 이 가운데 학습자는 어느 학파의 입장을 지지하는지, 그리고 그 근거는 무엇인지에 대해 실증적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II. 본론
1_시카고 학파
1) 이론의 등장 배경
A. 자유주의는 왜 폐기되었나
시카고 학파라고 부를 만한 학자들이 본격적으로 등장해서 그들의 이론을 내세운 것은 1970년대의 일이다. 따라서 이들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1970년대 세계 경제 상황, 그 중에서도 특히 미국의 경제 상황을 이해해야 한다.
미국은 세계대공황으로 나라가 말 그대로 ‘망할 뻔’했지만 뉴딜 정책을 통해 위기를 극복했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