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 봄> 흥행 이유와 함께 앞으로 영화가 가야할 방향성에 대하여

목차

없음

본문내용

‘역사는 신(神)이요, 나라는 형(形)이다.’ 박은식 선생은 한국통사에서 ‘역사를 잊지 않으면 망한 나라도 다시 세울 있다’고 강조하였다. 현재 ‘한국의 민주주의는 과연 시민들의 피와 땀으로만 이루어졌는가?’라는 질문에 <서울의 봄>은 이에 우리가 알지 못한 곳에서도 노력을 한 사람이 있다고 말해준다. ‘서울의 봄’은 당시 12·12 사태 속 군인 중에서도 군사 반란에 대한 저항을 끝까지 하고, 국민들의 안전과 나라의 안녕을 위해 본인의 목숨을 한 줄의 역사로 남긴 영혼에 대해 서술한다. 군사독재 상황을 보여주는 영화는 다양한 각도에서 그 시대상을 보여준다. <변호인>의 초반 송우석(송강호 역)을 통한 정부에 대한 소시민의 관점, <1987>에서 나타나는 시민과 공권력의 투쟁 등 관객들은 여러 관점에서 군사독재 당시 역사를 알아왔다.
‘서울의 봄’은 그 중에서도 시민들에게 잘 알려지지 않은 군대 조직 내의 상황에 대해 얘기해주고 있다. 하루도 안 되는 시간동안 일어난 사건을 141분으로 늘리면서 당시 한국의 디스토피아적 상황의 시작을 강조하고 있다. 물론 당시 군인이거나, 관련된 인물이라면 12·12사태의 상황에 대해 잘 알고 있었겠지만, 상대적으로 시민항쟁 때 일어난 일보다는 얕은 정보를 가지고 있었기에 쉽게 공감하기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그렇다면 우리는 왜 시민보다 군인의 입장에서 바라보는 그날의 이야기에 대해 감정몰입을 하고, 흘러가버린 역사에 분노하는가?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