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보건소 모자보건사업의 이해

목차

1. 모자보건사업의 개념
2. 모자보건사업의 중요성
3, 지역사회 모자보건사업

본문내용

1. 모자보건사업의 개념
모자보건은 생애주기별 건강에서 가장 기초가 되며, 한 나라의 국민건강과 나아가 개인의 삶의 질을 추구하는 근간이 된다. 세계보건기구(WHO)의 모자보건위원회는 모자보건사업을 모성의 건강유지와 육아에 대한 기술을 터득하여 정상 분만과 건강한 자녀를 갖도록 하며 예측 가능한 사고나 질환,기형을 예방하는 사업이라고 하였다.
우리나라「모자보건법」에서 모자보건사업이란 모성과 영유아에게 전문적인 보건의료서비스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고, 모성의 생식건강 관리와 임신·출산·양육 지원을 통하여 이들이 신체적·정신적·사회적으로 건강을 유지하게 하는 사업을 말한다.

<중 략>

(3) 출산 친화적 환경조성 (임산부의 날 및 임산부 배려 캠페인 추진)
① 임산부의 날 행사
「임산부의 날」을 통해 전 국민이 임신과 출산의 중요성을 재인식하고 모성 및 출산 친화적 사회분위기를 조성하여 저출산 극복에 기여하고자 10월 10일을 임산부의 날로 제정하였다. 우리나라 합계출산율은 2010년 이후 지속적으로 낮아져 2022년 0.78명으로 OECD 회원국 중 최저수준이며, 초저출산으로 인한 범정부적인 저출산 대책이 시급한 실정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